뉴스
"스위치"(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 뜨거! 재빨리 손 떼게 만드는 유전자 발견 2015.05.26
- 사실을 알아냈다. PRDM12는 유전자의 끝 부분에서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부모에게서 PRDM12 변이유전자 2개를 물려받은 사람들은 무통증을 앓는 반면, 정상인들은 1개만 물려받았다는 차이점을 발견했다. 우즈 교수는 “통증을 감지하는 ...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03.04
- 언제나 정말로 새로운 것을 찾고 싶어 하기 때문에, 다시금 이 거대한 기계의 스위치 앞에 서서 그동안 스스로가 해왔던 노력과는 모순된 소망을 품고 있다. 재가동된 LHC에서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는 것이다. 그러면 그것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물리학 ... ...
- 양자역학 없는 세상2015.02.01
- 트랜지스터가 탄생했다. 트랜지스터는 전기신호를 증폭하거나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위치다. 트랜지스터야말로 전자문명을 일으킨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이다. 이를 만든 쇼클리, 바딘, 브래튼은 1956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트랜지스터를 개발할 때 바딘과 브래튼은 벨연구소에서 쇼클리의 ... ...
- 심근세포 운명 좌지우지하는, 너는 누구냐2014.12.25
- 회로’가 심근세포에 존재하며, 이 회로가 심근세포의 생존과 사멸을 결정하는 핵심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 결과 베타수용체 자극이 약하면 ERK 신호전달경로가 활성화 되고 심근세포의 생존이 촉진되지만, 베타수용체의 자극이 강하면 ICER 신호전달경로가 활성화되면서 ... ...
- 줄기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 11일자에 발표했다. 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팀은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돌리는 스위치가 DNA의 탈메틸화(demethylation)라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탈메틸화는 DNA에 붙어있는 화학기인 메틸기(CH3)가 떨어지는 과정을 말한다. 연구팀은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을 이용해 DNA를 구성하는 염기 ... ...
- 야생 박 게놈에서 항암 유전자 있다2014.11.30
- 만드는 것으로 1, 3, 6번 염색체에 총 9개가 존재했다. 여기에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 BI와 BT도 추가로 찾아냈다. 또 이들 유전자가 만드는 물질을 분석한 결과 쿠쿠비타신을 합성 과정도 밝혔다. 쿠쿠비타신 합성에는 적어도 세 단계 이상의 화학반응이 관여한다는 ... ...
- 40cm ‘조종사 로봇’으로 비행기 조종 세계 첫 성공2014.10.03
- 인간 조종사 같았다. 자기 손으로 조종석 스위치를 하나씩 차례대로 켜고 곧이어 메인 스위치를 눌러 비행기 엔진을 작동시켰다. 랜딩(이륙) 신호가 떨어지자 잠시 움찔하더니 조종간을 조심스럽게 당겼고, 비행기는 천천히 하늘로 솟아올랐다. 로봇이 사람처럼 비행기를 조종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 ...
- 화이트 그래핀 위에 그래핀 쌓았더니…2014.09.12
- 불린다. 특히 연구진은 화이트 그래핀 위에 놓인 그래핀이 마치 반도체처럼 스위치를 누를 때만 전류를 흘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11일자에 실렸다. 손영우 고등과학원 교수는 “화이트 그래핀 위에 그래핀을 정교하게 배치하는 기술은 가임 교수팀만 ...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4.07.16
- 서 교수는 “다이오드 하나로 원하는 대로 저항을 조절해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소자나 센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적은 에너지로 수소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는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 ...
- 세포의 생사 가르는 활성산소 ‘스위치’ 찾았다과학동아 l2014.06.08
- 통해 활성산소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는 ‘분자 스위치’를 발견했다. 그 스위치는 인산화효소인 ‘MKL3’로 활성산소의 농도가 낮을 때는 세포증식에 관여하는 ‘ERK’ 단백질을 활성화하지만 활성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JNK’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 ...
이전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