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균관대학"(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17개국 과학자들, ‘환자 맞춤형 암 치료’ 연구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7.06.16
- 13일 서울에서 열린 ‘제13차 국제암유전체컨소시엄(ICGC) 사이언티픽 워크숍’에 참석한 링컨 스테인 ICGC 회장(가운데)과 제니퍼 제닝스 ICGC 사무총장(왼쪽에서 세 번째)과 ICGC 한국 연구팀.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미국과 프랑스, 캐나다, 한국 등 세계 17개국 과학자들이 위암, 폐암, 백혈병 등 50 ... ...
-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3] 아는지 모르는지 알고 싶다면 쓰라!2017.06.04
- 않는다 ※ 필자소개 김범준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이학박사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한국복잡계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저서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 56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언론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물리학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2] 좋은 글은 자랑하지 않는다2017.06.03
- 쓰라! ※ 필자소개 김범준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이학박사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한국복잡계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저서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 56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언론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물리학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 [물리학자 김범준의 ‘글을 쓴다는 것’ 1] 설명할 수 없다면 모르는 것이다!2017.06.02
- ※ 필자소개 김범준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이학박사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한국복잡계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저서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 56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언론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물리학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
- 미래부, 공학대학 역량 증진 위한 17개 ‘공대혁신 사업단’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7.05.02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공학대학 역량 증진을 위한 ‘공대혁신 사업’을 시행키로 하고, 사업단 19곳을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공대혁신 사업은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과 공학교육 리더십 확립, 기업의 공학교육 참여를 목적으로 시행된다. 총 사업비 50억 원을 투입해 대 ... ...
- [과학책을 만나다(1)] “아이가 질문을 잘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22
- ※편집자주 요즘 과학책이 대세죠? 인문학 열풍만큼은 아니겠지만, 과학 서적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게다가 외국 서적 번역이 대부분이었는 ...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대해, 그럴 수도 있지만 그림 작업을 한 김지희 작가는 현재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연구교수라고 답했다. ... ...
- 뇌 20배 이상 팽창…20나노미터 초미세구조까지 정밀 관측동아사이언스 l2017.04.18
-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뇌 질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장재범 성균관대학교 성균융합원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에드 보이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과 공동으로 뇌를 비롯한 장기를 20배 이상 팽창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장 교수가 제 ... ...
- 우리 아이 학교에서 어떤 소프트웨어 교육 받게 되나2016.10.13
- 소프트웨어 교육이 학교에서도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학교에서 소프트웨어를 배운다니, 왠지 낯설고 어떻게 해야 할 지 갈피를 못 잡겠습니다. 어떻게 지도해야할 지도 모르겠고요. 미래는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시대다, 자녀들에게 새로운 교육을 시켜야 한다 등의 얘기가 많습니다. 하지 ... ...
-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10.01
- 수학자에 대해 궁금해진다면? 기자는 가장 먼저 위키백과에 적힌 내용을 살펴본다.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정보를 어느 정도 믿는다. 누군가 잘못된 정보를 올려도 곧바로 이 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보고 내용을 옳게 고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식을 ... ...
- 10월 22일, 대한민국은 소프트웨어에 물들다2016.09.30
- “공기 반, 소프트웨어 반” 국민대 컴퓨터공학부 이민석 교수가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다. 일상 생활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무수히 많지만 가능하면 사용자가 그 존재를 느끼지 않도록 만들기 때문에 공기와 같다는 의미다. 스마트폰, SNS, TV, 자동차, 지하철, 엘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