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nd
토사
모새
세사
경미토
굵은 모래
자갈
뉴스
"
모래
"(으)로 총 453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엔진의 과열을 막기 위해 열을 식혀주는 열차단 물질이다. 또 헬기가 날아가면서 날리는
모래
와 먼지를 막아주는 물질도 개발했다. 인간두뇌를 닮은 뉴로모픽 컴퓨터도 개발됐다. 인간의 포유류 두뇌 기능을 모방해 기존의 컴퓨터 연산방식과는 다른 차원의 컴퓨터를 만들었다. 소인수 분해처럼 ... ...
도널드 트럼프 이름 딴 양서류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이 양서류는 다리가 없는 길이 10㎝의 작은 무족목 양서류로, 앞을 보지 못하고
모래
에 얼굴을 파묻고 사는 습성이 있다. 무족목 양서류는 다리와 꼬리가 없어 장어, 지렁이와 혼란을 자주 일으키기도 한다. 데르모피스 도널드트럼피의 모습이다.- 아벨 바티스타 제공 친환경 건설자재 ... ...
바이오산업 메카 꿈꾸는 홍릉에 300억원 특화펀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홍릉에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규제 샌드박스는 어린이들이
모래
놀이터(sandbox·샌드박스)에서 노는 것처럼 유망한 신기술에 대한 규제를 일정 기간 면제 또는 유예해 주는 것을 말한다. 이날 추진단은 홍릉형 R&DB 모델인 ‘H-TRAIN’을 제시했다. H-Train은 ‘홍릉(Hongneung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발견됐다. 수염상어는 보통 1~40m 사이의 수심에서 낮에는 주로 연안의 산호초 주변이나
모래
바닥 은신처, 맹그로브 나무의 뿌리 주변 에서 쉬다가, 밤이 되면 활동을 시작한다.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진이 면역질환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수염상어의 피를 뽑고 있다. ■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지진 피해에서 무사했다”며 “올해 3월 달 표면과 환경이 유사한 돗토리(鳥取) 현
모래
사장에서 필드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로버가 500m를 이동할 수준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하쿠토 팀이 개발한 로버는 자동차처럼 네 바퀴로 움직인다. 달의 부드러운 흙 속에 바퀴가 파묻히지 않고 이동할 ... ...
화성 착륙 임박한 탐사선 인사이트 '공포의 7분'을 극복하라
2018.11.23
화성에서 작업 사진을 보내면, 지구상의 엔지니어들은 포어사이트로 똑같은 경사면의
모래
를 파는 작업을 테스트해 봅니다. 그렇게 하면 인사이트의 잘못된 작동을 막을 수 있다고 NASA 측은 설명합니다. 인사이트의 탐사 활동을 지구에서 포어테스트로 똑같이 테스트해보는 과정을 거칩니다.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나노 크기로 만든 진흙 입자를 물에 섞어 ‘나노 진흙’을 만들었지요. 나노 진흙을
모래
와 합치면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강해져 물을 더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습니다. 올레센의 실험 결과, 나노 진흙을 쓴 농장은 물을 50% 이상 절약했습니다.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소행성 충돌 흔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방문해 녹아내린 빙하수에서 퇴적물 표본을 채취했다. 이들 표본에서는 일부 석영형
모래
의 표면이 평면으로 평탄하게 변형된 것을 확인했다. 이는 강력한 충돌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특징이다. 연구진은 이 지역이 약 1.5㎞ 크기의 철 성분으로 구성된 초대형 운석이 충돌하면서 생긴 것으로 ... ...
"봉사설비 좋은 편인가요" 철도용어까지 갈라놓은 분단70년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부르는데, 북한은 ‘공중선’이라고 부른다. 가는
모래
는 북한에서 ‘썩 잔
모래
’라고 한다. 열차의 탈선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가드레일은 일본어 발음을 연상시키는 ‘안전레루’라는 말로 부른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남북철도용어를 서로 알고 다시 하나 되게 하는 것도 남북철도 연결을 ... ...
떠다니는 연구소 ‘이사부호’ 태평양 심해생명체 신비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3인이 달려들었다. MC 아래쪽에 붙어 있는 8개의 원통형 채집통 속에는 심해의 진흙과
모래
가 가득 차 있었다. 연구진은 이 안에 숨어 있는 작은 해양생명체를 채집했다. 이 연구원은 “6300m 깊이에서 해양생물 샘플을 얻어낸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MC가 올라오자마자 다음 해양조사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