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중전달"(으)로 총 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AI가 만든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 멜론에 공개됐다과학동아 l2018.04.13
- 과학동아 제공 과학동아와 국내 음반제작사 엔터아츠가 공동으로 제작한 과학동아 주제가(song) ‘빛처럼’의 음원이 오늘(13일) 오후 12시 멜론 등 음원 사이트를 통해 공식 발매됐다. ▶'빛처럼' 들으러 가기 ‘빛처럼’은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동아와 엔터아츠가 공동으로 기획한 K팝으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과학동아 4월호 구매하기 (특별부록 ‘굿바이, 호킹’) “별 하나가 막 우주로 떠났다.” 3월 14일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타계했다는 소식에 지구촌 곳곳에서 애도가 쏟아졌다. 우주의 시작과 끝을 탐구하는 뛰어난 지성뿐 아니라, 장애를 극복한 굳은 의지, 유머, 용기로 전 세 ... ...
- [테마영화] 유독 눈에 띄는 배우 출신 감독들 BEST 3 2018.04.07
- 4월 개봉작들의 면면을 살펴 보면 유독 눈에 띄는 감독들이 있다. 4월 5일 개봉한 ‘레이디 버드’의 그레타 거윅, 4월 12일 개봉하는 ‘달링’의 앤디 서키스와 ‘콰이어트 플레이스’의 존 크래신스키가 그 주인공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배우 출신 감독이라는 것. 특히 그레타 거윅의 ‘레이디 ... ...
- 이모티콘 어디까지 써 봤니? 여성직업, 장애인, 예술작품까지 끝없이 확장 중 2018.03.27
- 얼마 전 애플이 이모티콘에 장애를 주제로 한 이미지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애플은 미국 청각장애인협회, 뇌성마비위원회 등 장애인 지원 기관들과 협력해 맹인 안내견, 의족, 의수, 휠체어, 보청기 등 13개의 이모티콘을 만들었습니다. 애플은 새로운 이모티콘을 유니코드 협회에 제안하 ... ...
- 과학과 저널리즘의 공통점은?동아사이언스 l2018.03.06
- “과학이란 몰상식, 미신, 편견에 반박하는 도구라고 생각했어요. 진실을 밝히는 저널리즘과 닮아 있죠. 저널리즘의 측면에서 과학에 접근해 보자고 다짐했습니다.” 프리즘팀의 이수종 씨가 프로젝트 발표회에서 팀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염지현 기자 2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구글 캠퍼스에 ... ...
- 읽는 책에서 듣는 책으로, 오디오북 시대 2018.02.19
- 우리나라 성인 인구 중 40%가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다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통계가 나왔다. 1994년 처음 조사가 이뤄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라고 한다. 당장 지하철을 타도 책을 읽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고 대부분 스마트폰 속 동영상이나 게임, 혹은 소셜미디어에 집중하는 것이 요즘의 현실 ... ...
- 평창 하늘에 뜬 드론 1218대의 비밀...인텔은 왜?2018.02.10
-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막했습니다. 개막식은 평화와 화합을 담는 메시지와 함께 개최국의 문화와 특성을 전달하는 공연이 함께 담기곤 합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강조되는 우리나라의 이미지는 K팝으로 대변되는 대중음악과 IT 기술이 꼽혔습니다. 특히 이번 동계올림픽은 5세대 이동통신을 비롯 ... ...
- [카드뉴스]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12.08
- 인간의 조상은 남성이든 여성이든 둘 다든, 분명한 언어로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기 전에 멜로디와 리듬으로 서로를 매혹시키려고 했다. - 찰스 다윈, ‘인간의 유래와 성에 관한 선택’ 사람은 음악이 없어도 먹고 자고 의사소통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음악은 끊임없이 발전하며 우 ... ...
- 국립광주과학관 누적관람객 200만명 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09.14
- 지난 9월 12일 국립광주과학관이 누적 관람객 2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1월 누적관람객 100만을 돌파한 이후 19개월 만의 성과다. 2013년 빛, 예술, 과학을 주제로 설립된 국립광주과학관은 그동안 상설전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특별전시를 기획하며 과학 대중화에 앞장서 왔다. 2016년 한 해에만 67만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⑮ 인간은 왜 ‘수다’를 떨까?2017.08.19
- ● 네 줄 요약1. 잡담과 수다는 사회적 결속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수다를 떨며 인류의 대뇌화와 언어의 진화가 일어났다는 주장이 있다. 3. 그러나 사회적 관계의 양적 증가가 진화의 원동력이라는 주장은 미심쩍은 부분이 많다. 4. 가십과 수다는 진화의 추동력이기보다는 유용한 부산물일 가능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