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권
환경
뉴스
"
대기권
"(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초소형 인공위성 시대 앞두고 아이디어 실현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수 있다. 현재까지는 인공위성이 수명을 다하면 그대로 궤도에 둬 지구 중력에 의해
대기권
으로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소멸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십수~수십 년이 걸린다. 이성문 대표가 이끄는 우주로테크는 초소형 인공위성의 수명을 연장하거나, 이미 수명을 다한 것을 ... ...
[특별기고]우주는 이미 삶 속으로 들어와 있다
2019.07.17
쓰는 포인터에 사용되는 레이저 기술과 반도체를 이용하는 고성능 컴퓨터, 우주선이
대기권
을 통과할 때 견뎌내는 내열소재가 등장했다. NASA가 가장 납세자인 미국 국민들에게 자랑스럽게 홍보하는 자료를 보면 지난 반 세기간 우주개발 과정에서 파생된 기술만 6300종에 이른다. 이런 기술이 ... ...
中 우주정거장 ‘톈궁 2호’ 곧 폐기...한반도 추락 가능성은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월 폐기시켰다. 하지만 이 때에는 어디로 떨어질지 알 수 없는 통제불능 상태에 빠진 뒤
대기권
에 재진입해 전세계를 긴장시켰다. 톈궁 1호는 2016년 11월부터 통제불능 상태에 빠져 있었고, 이후 점차 궤도가 낮아지다 1년 반 뒤 결국 추락했다. 당시 한국 정부는 톈궁 1호의 국내 추락 가능성이 ... ...
[KSF2019] '초소형위성'에 추진장치 붙여 우주쓰레기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답을 못해왔다”고 지적했다. 위성의 경우 지구 중력에 의해 십수 년에 걸쳐 지구
대기권
으로 낙하하며 자연스레 소멸되는 게 일반적인 폐기과정으로 여겨졌다. 자연이 인간이 배출하는 위성 쓰레기를 감당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스페이스X가 우주 인터넷망 구축을 위해 약 1만 2000개의 ... ...
러, 기존 ICBM 위성 발사체로 활용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한국이 우려한 것도 우주발사체가 미사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 특히 ICBM이
대기권
재진입 등 더 많은 기술이 필요하기 우주 발사체를 미사일로 전환하는 것보다 ICBM을 우주 발사체로 전환하는 게 더 쉽다. 로고진 국장은 “작은 우주선을 민간 궤도에 올리기 위해 (미사일을) 재조정하는 ... ...
[뉴스페이스의 개막] 척박한 한국서 '퍼스트 펭귄' 자처한 우주 스타트업(하)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개발하고 있다. 위성이 수명을 다하면 궤도를 변경해 운용 수명을 연장하거나
대기권
으로 내려보내 불타 없어지게 해 위성 잔해가 우주쓰레기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민간의 대규모 군집위성 사업이 현실화하면서 발생할 문제의 해결책을 탐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다른 스타트업인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창업자 래리 페이지가 공동 창업한 미국 우주광산 회사 ‘플래니터리 리소시스’는 지구
대기권
밖의 수분을 탐사할 수 있는 소형 위성을 자체 개발했다. 소행성에 있는 광물을 직접 채굴하는 데 밑바탕이 될 위성으로 평가받았다. 플래니터리 리소시스는 래리 페이지가 공동 창업한 것으로 ... ...
26일 아침 쌍소행성이 지구 곁을 지나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0만개의 소행성과 혜성이 지구 주위를 지나간다. 지구로 접근하는 것 대부분은 지구 고층
대기권
과 부딪혀 불타 사라진다. 엄청난 크기와 근접도로 지구를 위협하는 것도 있다. 지난 2013년 2월 15일 지름 0.45km의 소행성 ‘2012DA14’가 지구와 겨우 2만7700km 떨어진 곳을 지나갔다. 천리안 위성보다 800 ... ...
원자력계 "알랄라 존중하지만 초저준위 방사선 위험하다는 주장은 터무니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유효선량이 1mSv를 넘는 사람은 없었다”며 “내부피폭 선량 평균치는 1960년대 전반에
대기권
내 핵실험으로 북반구가 오염됐던 당시의 선량보다도 낮았다”고 말했다. 전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위원인 이재기 한양대 명예교수는 국내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일반인 연간 선량한도 1mSv는 ... ...
[알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캐나다 탐험대에 도전해보세요 (6월 15일까지 접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5.17
"유콘 화이트호스! 오로라를 보러 가자!"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대전 입자가
대기권
의 기체와 부딪치면서 신비한 빛을 내는 현상이에요. 어디서든 이 멋진 광경을 볼 수 있으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오로라는 극지방과 가까운 곳에서만 볼 수 있어요. 위도가 높은 캐나다에서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