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국내
오지
변경 지방
뉴스
"
내륙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성층권 온난화가 기후 조건을 바꿔 놓았다”며 “성층권 온난화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
내륙
에서 해안 쪽에서 계속 불게 했고 이는 해안 근처에 산불이 날 확률을 높였다”고 말했다. 유칼립투스 나무가 많은 호주 수목의 특징도 산불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유칼립투스는 기름 성분을 공기 중으로 ... ...
기해년 마지막 해 오후 5시40분 지고 경자년 첫 해 7시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동쪽 끝인 독도에서 가장 먼저 떠올라 7시 31분부터는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
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해돋이 명소인 강릉 정동진에선 7시 39분, 제주 서귀포 성산일출봉에선 7시 36분에 첫 해가 뜬다. 서울은 7시 47분에, 부산은 7시 32분에 일출을 볼 수 있다. 새해 첫 일출을 보기 위해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서남극 빙하 전체가 바다에 유입되면 지구 해수면이 5.6m 상승한다”며 “빙하가
내륙
방향 두 번째 산마루까지 물러나면 서남극 빙하는 멈출 수 없는 붕괴양상에 접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과 영국, 한국 등으로 구성된 ‘국제스웨이트 빙하협력단’은 2021년까지 스웨이트 빙하 정밀 ... ...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
과학동아
l
2019.12.02
국제학술지 ‘프론티어 인 제네틱스’ 11월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중국
내륙
칭하이 호수 한 곳과 최남담 하이난섬부터 북부 탕산시까지 해안을 따라 이동하며 물떼새 22마리의 근육과 혈액 시료를 채취해 유전자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특히 북쪽에 서식하는 흰물떼새와 남쪽의 ... ...
'중국판 스페이스X', 상업 우주발사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그리드 핀 기술을 적용한 국가가 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내륙
에서 로켓을 발사하기 때문에 위성 발사에 사용된 로켓이 민간인 거주 지역 인근에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로켓 낙하 위치 그리드 핀의 개발 필요성이 컸다. 이번 로켓에 장착된 그리드 핀은 구이저우 ... ...
경북 상주서 규모 3.9 지진…이틀 연속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앞바다에서 일어난 규모 4.1 지진에 이어 올해 들어 발생한 지진 가운데 세 번째로 크고,
내륙
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4분 18초쯤 경북 상주시 북북서쪽 11km 지역에서 규모 3.9 지진이 발생했다. 이날 지진이 발생한 진원 깊이는 14km로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정도로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이 중 프랑스와 벨기에, 독일에 둘러싸인 유럽
내륙
작은 국가 룩셈부르크는 최근 3~4년 동안 가장 주목받는 우주개발 국가로 떠올랐다. 룩셈부르크 정부는 2018년 우주청을 설립하고 우주 소행성에서 희귀 광물을 얻는다는 구상도 밝혔다. 우주청 창설 기념식에 ... ...
연속적인 동해 지진, 활성단층 지도 없어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지진이 발생할 만한 해저 단층에 대한 정보 분석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내륙
과 마찬가지로 한반도 동남권 해저 단층 구성과 활성 단층을 파악할 수 있는 해저 단층 지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동해상 지진 연구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해상에서 잇따라 발생하는 지진이 기존 ... ...
동해서 3일 만에 지진 발생, 한반도-동해 사이 단층 원인 가능성
2019.04.22
에너지를 순간 증가시켜 지진을 발생시키는 ‘딜레이드 트리거링’ 현상에 따라 한반도
내륙
단층에 응력이 들어가면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
6600만년 전 그날 거대한 불덩어리가 떨어졌다…소행성 충돌 직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발생해 수십분 밖에 걸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쓰나미에 휩쓸려
내륙
까지 온 바닷물고기 화석. 로버트 드팔마 제공 이날 PNAS에는 월터 알바레즈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지구행성과학과 연구팀의 연구 결과도 실렸다. 이들은 백악기-팔레오기 경계 지층을 관찰한 결과 지구상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