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과
과상 돌기
복사뼈
국
속
학부
전공
뉴스
"
과
"(으)로 총 2,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인상이 완벽한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2024.06.2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나를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고들 이야기한다. 일리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자신에 대한 사랑이 '지나칠' 때는 어떨까. 자신을 향한 ...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
정을 밟고 ... ...
전국 뇌졸중 전임의 고작 12명…환자는 매년 10만명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타 진료
과
를 보면 적절한 보상
과
지원이 없을 때 인증의 제도가 장기적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수포자' 늘었다…고2 17%, 수학 기초학력 '미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수준을 보이는 학생 비율이 높다는 점도 확인됐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
과
다른
과
목보다 특히 수학에 어려움을 느끼는 ‘수포자(수학포기자)’ 들이 많다는 점에서 이를 중요하게 인지하고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했다 ... ...
단층 미확인 전북 내륙서 최강 지진…"언제·어디든 판 내 지진 가능성"
2024.06.12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이번 지진
과
관련해 현재까지 원자력발전소 등 국내 모든 원자력시설 안전에는 이상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진앙지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시설인 한빛 원전의 지진계측값은 최대 0.018g이며, 이는 내진설계기준인 0. ... ...
우주 다녀온 우주비행사, DNA 손상·스트레스반응 활성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들이 정상수치로 돌아오는 속도가 더 빨랐다. 혈액응고반응
과
연관된 단백질 피브리노겐(피브리노젠)
과
급성염증반응에서 활성화되는 인터루킨-8(IL-8)도 성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는 혈액 응고와 면역 체계 조절이 향후 정밀 우주 의학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를 저장하는 '쿼드러플 레벨 셀(QLC)' 수준"이라며 "0
과
1만 표현해 2개의 정보를 담는 셀
과
비교하면 8배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어 데이터 밀도가 높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자는 100만 번 이상 동작하는 테스트 후에도 높은 안정성을 보였고 정보를 유지하는 성능도 뛰어났다. 낸드 플래시 ... ...
명망 있는
과
학상 수상자들이 상 명칭 변경 요청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슈빌레 교수도 ”새클러라는 이름은 생물물리학
과
주제적인 관점에서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상 명칭 변경에 동의 의사를 전달했다 ... ...
복제기술로 다시 태어난 검은발족제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08
Kika Tuff/Revive & Restore 제공 검은발족제비는 이름처럼 발이 검은색을 띠는 족제빗
과
의 포유류입니다. 미국, 멕시코 등 북아메리카에 사는 검은발족제비 ... 늘리고 유전자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
과
학동아 6월 1일, 다시 태어난 검은발족제비 ... ...
"양자컴퓨터가 신약 개발하는 시대 머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KRAS' 억제제를 찾는 데 도움을 줬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이언스는 "구글
과
IBM 등의
과
학자들이 곧 수십만 큐비트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면서 양자컴퓨터 기술이 향상되며 신약 개발에 필수적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1% 미만의 SNS 사용자가 가짜뉴스 80% 퍼뜨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가짜뉴스 게시물을 자동으로 리트윗(재공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조사 결
과
가짜뉴스 공유 타이밍이나 간격에서 자동화된 패턴을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의 공동 저자인 브리오니 스와이어-톰슨 미국 노스이스턴대 심리학부 교수는 "말 그대로 컴퓨터 앞에 앉아 리트윗을 누르고 있었던 것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