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사
뉴스
"
개죽음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젊어지는 ‘벤자민 버튼 세포’ 만들었다
2015.01.27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주인공 벤자민 버튼은 다른 사람과 달리 세월이 지날수록 점점 어려진다. 벤자민 버튼 역을 맡은 브래드 피트는 영화 초반 노인의 모습으로 등장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원래의 멋진 모습을 되찾는다. 염색체(회색) 끝에 있는 텔로미어(흰색 점). -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페퍼는 인류에게 전환점이 될 것이다. - 손정의 지난 1970년 미국 SF작가협회는 1929년에서 1964년까지 발표된 SF단편을 엄선해 1970년 ‘SF 명예의 전당’이라는 단편집을 간행했다. 그 1권이 40년만인 2010년 두 권으로 나뉘어 번역출간됐다. 번역서 2권에 실린 13편 가운데 레스터 델 레이(Lester del Rey)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신이 정수를 만들었다. 나머지는 인간의 창조물이다. - 레오폴트 크로네커 며칠 전 한 인터넷서점에서 독자들에게 추천할 책 네 권을 골라 간단한 설명과 함께 보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어떤 책을 고를까 생각하다 아무리 과학에 대한 글을 쓰면서 먹고 살더라도 과학책만 고르면 너무 삭막해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2014년은 국내외에서 유난히 사고가 많은 해였다. 보통 연말이면 한 해가 가는 게 아쉬울 법도 하지만 올해는 더 이상 사고 없이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4년 타계한 과학자 가운데도 사고나 스캔들로 인한 죽음이 있었다. 에이즈 분야의 석학인 네덜란드의 욥 랑게 교수는 지난 7월 17일 ... ...
‘21세기 흑사병’ 에볼라 1년… 7588명 사망, 1976년의 18배
동아일보
l
2014.12.26
[동아일보] 지난해 12월 26일 서아프리카 기니의 한 마을에서 한 아기가 고열과 구토 증세를 보였다. 아기는 이틀 뒤 피를 토하며 숨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이 두 살배기가 올해 전 세계를 ‘에볼라포비아’로 떨게 만든 서아프리카발(發) 에볼라 발병의 시작이었다. 1976년 아프리카 중부의 ... ...
쥐의 웃음이 가득한 곳은?
2014.11.16
추수밭 제공 ◆ 동물을 깨닫는다 (버지니아 모렐 著, 추수밭 刊) 쥐의 웃음소리가 가득한 장소가 있다. 미국 워싱턴주립대 심리생물학과의 한 실험실이다. 이곳에서는 쥐를 간지럽히며 쥐의 감정상태를 연구한다. 실험이 시작되면 쥐들의 웃음소리가 실험실에 퍼진다. 하지만 사람은 그 소리를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어머니는 늘 저에게 ‘웅변은 은이고 침묵은 금’이라고 가르치셨죠. 하지만 전 차마 말로 할 수 없는 광경을 너무나 많이 보았습니다. - 페터 피오트, 에볼라 바이러스를 처음 관찰한 바이러스학자. 필자가 단골로 가는 카페에서는 주인장이 커피 마니아라서인지 매주 스페셜 커피를 내놓는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4000년 간질의 역사는 무지와 미신, 오명(stigma)이란 세 단어로 요약될 수 있다. 그리고 지난 100년 동안은 지식과 미신, 오명으로 요약된다. - 라젠드라 케일 톨스토이와 함께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 도스토예프스키는 소설보다도 더 극적인 삶을 살았다. 극단적인 인간 심리와 사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아니 뭐 하세요?” “아 예. 그냥…” “어머, 마음이 약하신가봐. 호호” 회를 먹으러 가다보면 가끔 회를 뜬 물고기 뼈 위에 살점을 얹어 내놓는 집이 있다. 그런데 물고기가 아직 살아있어 입을 뻐끔뻐끔한다. 아마 주방장의 회 뜨는 솜씨를 자랑하거나 물이 좋다는 걸 보여주려고 그러 ... ...
미국 불가사리 떼죽음, 원인 몰라 답답
과학동아
l
2014.05.04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의 표지는 죽어가는 불가사리가 차지했다. 최근 들어 미국 연안에서 불가사리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현상을 조명한 것이다. 무엇이 불가사리를 죽이고 있을까. 미국 각지의 연구팀은 불가사리 개체수가 줄어드는 이유를 규명하고 있다. 불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