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하거나 멈추기 위해 작용하는 물질 중 하나가 단일
가닥
의 염기로 이뤄진 RNA 전사체다.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RNA 전사체를 따라가면 무슨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었던 배아세포가 간이나 심장등 특정 조직의 세포로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대니얼 왜그너 미국 ... ...
익룡의 원시 털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바탕으로 분류를 한 결과 공룡과 익룡의 공통조상이 쥐라기 초기 또는 중기에 한
가닥
짜리 섬유로 된 털을 지녔고 붓 모양의 털은 나중에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네 종류의 피크노파이버가 익룡 어느 부위 외피에서 발견됐는지 표시한 그림. 맨 위 그림과 비교해 보면 각기 다른 ... ...
[프리미엄 리포트]한없이 가볍고 따뜻한 패딩 깃털 얼마나 알고 입나
과학동아
l
2018.12.09
화학섬유로 만든다. 화학섬유들끼리 얽힌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차있다. 화학섬유
가닥
은 가운데가 뚫려있는 ‘중공섬유(오른쪽 사진)’ 형태로 만들어 공기 함유량을 늘리는 동시에 가볍도록 했다. Kelly(F),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제공 이 때문에 최근 ‘인공 충전재’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단백질이 표지된다. 현재는 단일
가닥
DNA 대신 ‘파지미드(phagemid)’라고 불리는 이중
가닥
의 원형 DNA에 파지의 외피단백질 유전자 일부와 원하는 단백질 유전자를 결합해 세균에 삽입한 뒤, 도우미 바이러스가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도록 해 우리가 원하는 파지를 생산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양전하를 띠는 지질나노분자로 이중으로 감싸는 기술을 개발했다. 짧은RNA 염기
가닥
을 간세포로 이동시켜 트랜스티레틴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못하도록 간섭을 일으키는데 성공했다. 처음으로 승인된 RNA 간섭 약물로 기록됐다. 초파리의 뇌 신경망 구조가 이미지로 확인됐다-미국 ... ...
‘혐기성 미생물’의 약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원리를 알아냈다고 27일 밝혔다. 산소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만들고, 아미노산
가닥
에 단백질 고유의 특징을 부여하는 ‘단백질 접힘’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등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요소다. 하지만 이런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미생물이 발견되면서 산소 기능을 대체하는 요소가 ... ...
실처럼 가느다란 ‘땀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얇은 판 형태의 기존 센서를 가느다란 섬유
가닥
형태로 바꿔 제작했다. 직물에 센서 한
가닥
을 삽입하면 간단히 웨어러블 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장기간 물속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되며, 생체 적합성도 높다. 또 이온 농도를 95%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 연구진은 ... ...
실험용원숭이는 왜 고압전류 위험 무릅쓰고 사육장을 탈출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울타리 하단의 학습용 전기충격기와 상단의 전기펜스를 잇는 가느다란 전선 한
가닥
이 사건의 도화선이 됐다. 생명연 관계자는 “상단 전기펜스에 전기를 끌어다 놓기 위해 연결한 전선으로 펜스와 마찬가지로 고압 전류가 흐른다”고 설명했다. 원숭이는 1초 간격으로 계속된 전기 충격에도 ... ...
“불변의 단위 시대...생명공학, 초고속통신 혁신 가능할 것”
과학동아
l
2018.11.16
묻어 질량이 미세하게 바뀔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실제로 지난 100년간 머리카락 한
가닥
무게 정도인 약 50㎍(마이크로그램)만큼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총회에서는 한국을 포함해, 미터협약의 정회원국인 60개국 중 53개국 대표들의 투표를 거쳐 ‘kg을 플랑크상수로 재정의’하자는 ... ...
RNA연구 핵심장비 '극저온현미경' 중국 대학 한곳에 6대…한국은 내년에 두 번째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연구가 활발하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 수천 개의 작은 RNA들이 발견돼 있는데, 이들은 외
가닥
RNA가 꼬여서 3차원 구조를 갖게 되면서 마치 효소처럼 생체 내에서 수많은 복잡하고 섬세한 조절 기능을 갖게 된다. 때로는 커다란 다른 단백질과 결합해 기능을 확장시키기도 한다. 파텔 교수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