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생태계"(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왕우렁이에 대하여탐사기록 l20200605
- 사용되었다고 해요. 그런데 번식력이 왕성하고 토착종과 경쟁하며 하천 생태계를 교란한다고 하여 환경부에서는 2019년 왕우렁이를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하려고 하였습니다. 농업계에서는 왕우렁이가 농업에 기여하는 점이 많다고 반대의견을 냈다고 합니다.오늘 논에서 관찰한 왕우렁이입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몰랐는데 더듬이 같은 것도 ...
- 인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진화한 동물 6가지기사 l20200531
- 붙을 수 있도록 앞발과 뒷발이 도마뱀붙이 같이 더 끈적이고 더 큰 사이즈로 진화했습니다. 도시에 서식하는 도마뱀의 앞발과 뒷발이 생태계의 살고 있는 도마뱀 보다 훨씬 더 사이즈가 큰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렇게 많은 동물들이 인간의 위협과 환경파괴에서 날아 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진화했습니다. 동물의 적응력이 놀랍기도 하지만 본 ...
- 동물은 왜 다른 생물을 잡아먹을까요? (소비자)기사 l20200529
- 영양분을 다른 생물에게서 얻는 생물이에요. 먹이 관계는 다른 말로 먹이 사슬이라고 하는 건 알고 있죠? 먹이사슬(먹이 관계)는 한 생태계 안에서 생물끼리 먹고 먹히는 관계를 말해요. 여러분, 오늘 제 기사가 맘에 들었나요? 다음시간에는 좀 더 흥미로운 기사로 돌아오겠습니다. ... ...
- 세상에서 가장 큰 보아뱀 3종류를 알아보자!기사 l20200526
- 미국 플로리다 주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에서 자주 발견되는데요. 미시시피 악어를 먹어치우는 등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하며 생태계교란을 하고 있어요. 가끔 집 화장실 변기에서 발견되서 곤란해지는 경우도 있답니다!! <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코리아 > 저는 이 뱀들이 먹이를 휘감아 조이는 것과 신기한 무늬가 있는 것이 흥미웠는데요. 이 화 ...
- 신기한 멸종동물: 틸라코스밀루스기사 l20200525
- 약 700만 년 전 남아메리카 지역의 생태계를 지배했던 유대류입니다. 유대류는 오늘날의 코알라, 캥거루가 속해있는 류입니다. 틸라코스밀루스는 검치호로 알려진 스밀로돈과 닮았습니다 (하지만 스밀로돈과 관계 없음) (출처: 제가 그렸습니다 모두 제가 그렸습니다 턱을 보시면 평생 자라는 송곳니를 보호하기 위해서 칼집 같이 생긴 부분이 있어요. 설치 ...
- 요즘 생태계교란 생물의 핫이슈, 미국가재!기사 l20200503
- 그런일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겠죠? 미국가재를 포함한 여러가지 생태계교란 생물들이 빨리 자기네 나라로 돌아가고, 우리의 생태계가 균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상 이현준 기자였습니다.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생태계교란 생물의 위험성을 알아보자!기사 l20200501
- 위협하고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고 하니 외래종을 들여올 때는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잘 살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생태계교란 생물이기는 해도 특징도 다양하고 모두가 개성 있는 생물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답니다. ^^ 저의 기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회가 되면 2탄으로 돌아올게요! 이상 이현준 기 ...
- 우리가 모르고 있던 희귀 동물기사 l20200424
- 분포지는 중국의 쓰촨성, 산시성, 간쑤성인데, 깊은 산 속의 아열대 수풀림에 서식하고,약재용과 모피용으로 계속 밀렵되고 있으며, 생태계 파괴로 금빛원숭이의 서식지가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ㅠㅠ (출처:김민승님 블로그) 마지막은 갈기늑대입니다. 갈기늑대는 몸길이가 87∼130cm, 꼬리길이 30∼37cm, 몸무게 20~23 kg정도 됩니다.몸은 ...
- 다른나라에 피해를 준 우리나라 생물 4가지기사 l20200313
- 식인 가물치 영화까지 만들었습니다! 현상금도 달았고, 풀어주지 말라는 표지까지 생겼으니, 아주 민폐 거리겠죠. 일본으로 가서도 생태계에 피해를 입혔다고 합니다.(와 진짜 가물치 다시 봤다! 엄지척) 이미지 출처: 구글 드렁허리 드렁허리도 미국에서 누가 풀어놨으나 가물치와 똑같이 닥치는 대로 외국 생물을 먹고, 생명력도 강해서 물과 먹이 ...
- 어과동의 왕국 시즌 2 (리부트!)포스팅 l20200201
- 이유로 어과동의 생태계에서 잠시 떠나있는것입니다. 좋은 예로는박지민이나 윤보연, 강설현이 있습니다.하지만, 대자연(관리자님)은 생태계의 균형이 무너지는 것을 바라지 않나 봅니다.비슷한 습성을 가진 비슷하게 생긴 비슷한 식성과 비슷한 서식지를 가진 생물을 끝없이 진화시켜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오늘도 평화로운 동물의, 아니 어과동의 왕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