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볼
표상
심벌
기호
부호
표시
예표
어린이과학동아
"
상징
"(으)로 총 404건 검색되었습니다.
4대 요정 2-10 ( 짧음 주의 )
포스팅
l
20200705
지난 화 링크 http://kids.dongascience.com/presscorps/postview/214565 지난 줄거리 어떤 수상한 사람이 지하감옥에 내려오기 시작한다. 그런데 설상가상. 나리가 쓰러지고 워리아와 토어스는 위기에 처하는데... 벌컥 !! 워 ... .. 나리 뭔가 이상해... 워리아: 뭐가 ? 토어스는 나리의 머 ...
러시아의 대표 건축물
기사
l
20200705
모스크바의 크렘린은 오랫동안 황제가 사는 궁궐이었습니다. 러시아 혁명으로 모스크바가 수도가 되면서 크렘린은 러시아의
상징
이 되었습니다. 지금 여러분이 보시는 궁궐은 상트페테부르에 있는 겨울궁전입니다. 겨울궁전에서 살았던 예카테리나 여왕은 미술작품을 놓고 걸어 두었습니다. 그러자 귀족들도 자랑하려고 앞다퉈 미술작품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사회주의 ...
토성의 고리가 사라지고 있다?!
기사
l
20200630
중에 가장 밀도가 높아요. 고리를 이루고 있는 입자는 얼음이며, 나노미터에서 자동차만 한 크기까지 매우 다양하죠. 그런데 토성의
상징
과도 같은 고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충격을 주고 있어요. 미국 항공 우주국 고더드우주비행센터 연구진은 토선 탐사선 카사니 호의 마지막 임무인 그랜드 피날레(카사니 호가 최후의 임무로 ...
검은 치아는 귀족의
상징
?!
기사
l
20200628
안녕하세요. 신시호 기자입니다. 여러분들은 검은 치아에 대해서 아시나요? 검은 치아는 일본에서 과거 유행했던 여자들의 화장법이었는데요. 검은 치아는 높은 부의
상징
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검은 치아는 아주 옛날에 한번 유행했던 적이 있다고 하는데요. ... 가지고 있다는 게 현재에는 있을 수 없는 이야기겠죠? 참 쓸모없지만 친구에게 들려 ...
아 ㅋㅋ 현웃 ...ㅋ
포스팅
l
20200628
지도 계시냐고 물어보면서 안계시길바라는것은? 화장실 .부산앞바다에 반대말은? 부산엄마다 .크리스마스 트리가에서 트리가
상징
하는 것은? 나무 .자기전에 하는일은? 눈감는일 눈이 6개고 다리도 6개인 것은? 렌즈낀 사람이 말 탄거(설명:렌즈눈2개사람눈2개말눈2개말다리4개사람다리2개) .갓 태어난 병아리가 찾는약은? 삐약 .탈모 걱정 없는 ...
무섭네요...
포스팅
l
20200616
북한이 개성 연락사무소를 폭파 시켜버렸다네요ㅠㅠㅠ 평화의
상징
인데 말이죠ㅠㅠㅠ ...
꾸룩새 연구소 2번째 방문기 - 제비 상식 [2탄]
기사
l
20200615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는데 이는 습기 때문에 몸이 무거워진 곤충을 잡아먹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우체국
상징
마크도 제비입니다. 오늘날 제비는 멸종위기 단계 중 관심대상종입니다. 사람이 뿌린 농약이 제비 몸에 쌓여서 알껍질이 얇아져서 부화하지 못하거나, 농약을 직접 먹고 죽어서라고 합니다. 서울시 보호 ...
뉴질랜드의
상징
매력둥이 키위새!!
기사
l
20200609
안녕하세요! 임세민기자입니다. 오늘은 아주 귀엽고, 매력둥이인 키위새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그럼 보러 가 보실까요?? 우리가 원래 먹은 과일 키위의 이름은 양타오입니다. 중국 과일인 '양타오'는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1906년에 뉴질랜드 땅에 심어졌다고 합니다. 뉴질랜드의 종묘업자 헤이워드가 1940년대에 지금의 품종을 대량 재배에 성공해서 수 ...
어서와, 꾸룩새 연구소는 처음이지?
기사
l
20200608
온 제비가 홍보 움막을 날아드니~'라는 부분이 있더라구요. 저의 할머니가 그러시는데 제비는 봄에 강남으로 오기 때문에 제비가
상징
하는 계절이 봄이라고 하네요. 우리는 꾸룩새 연구소에 가서 정다미 소장님의 어머니이신 임봉희 부소장님과 함께 제비 관찰을 하러 갔습니다. 우리나라에 오는 제비는 자연 속에 둥지를 만들지 않고 주로 인가에 둥지를 튼 ...
한국 속담에 대하여 2편- 동물
기사
l
20200605
숲이 우거지고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 많아 호랑이들이 많이 살았습니다. 호랑이는 사람들이 두려워해서 위엄과 권위를
상징
하는 동물로 속담에 많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없어졌어요!!!!!! 밀렵꾼들 나빠욧!) ○ 호랑이 담배 먹을 적 옛날 사람들은 동물들도 사람과 비슷하게 생활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호랑이도 사람과 같이 곰방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