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수상한 생선의 진짜로 해부하는 과학책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대한 영상이 많지 않은 것을 보고, 직접 실험 콘텐츠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답니다. 학교에서는 현재 해부 실험이 금지돼 있는데, 제가 해부하는 모습을 교실 밖에서 영상으로 만들어 보여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주제로 해부를 선택한 이유는 생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예요. 해부를 ... ...
- [커리어] 2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자매학교가 있는데 지난 2019년에 학생 2명과 함께 탐구활동을 다녀왔습니다. 한국의 고등학교 2학년에 해당하는 학생들과 짝을 지어서 활동했는데, 글쎄 이 학생들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재난용 로봇을 100대 구입해 재난 정보를 수집하는 연구를 제안하더군요. 어떻게 구입할 수 있냐고 물어보니 ... ...
- [수학공부] 수학의 재미를 찾으려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장점은 많이 알려져서 사람들이 잘 알고 있어요. 앤드루 와일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가 13살 때 처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풀겠다고 마음먹고, 여러 난관을 맞닥뜨렸을 때도 포기하지 않아서 결국 풀어냈다는 이런 종류의 성공 신화는 많이 알려져 있잖아요. ‘잘 포기하면 의지가 약한 ... ...
- 허준이 교수도 깜짝! 이런 것도 물어봤다고?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시절 가장 짜증났던 수학 분야는 무엇인가요? 저는 집합과 명제가 참 어려웠어요. 고등학교 수학 가장 앞에 나왔는데, 당시 많은 학생이 문제집에서 그 부분만 봐서 까맣게 돼 있었지요. 제 것도 거기만 까맸어요(웃음). ‘p이면 q이다’와 ‘q가 아니면 p가 아니다’가 동치인 명제잖아요. 이해할 ...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역사에 관심을 가질 분에게 추천하는 책이 있는데요. 이안 스튜어트 영국 워릭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쓴 이라는 책입니다. 중요한 함수들에 대한 수학자들, 혹은 과학자들의 생각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책 중 하나입니다. 세 번째 질문 | 함수는 세상을 어떻게 ... ...
- [킹앤포] 카탈란 수 정복하기!수학동아 l2023년 08호
- POSTECH 수학·물리 동아리 마르쿠스의 권찬우 회원은 중학생 때부터 수학경시대회와 영재학교 입시를 준비하며 조합론에 관심이 많아졌대요. 당시 단골로 출제된 조합론 개념이 ‘카탈란 수’라 그 성질을 알아보는 퀴즈 문제를 냈다고 합니다. 퀴즈를 풀며 조합론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
- "지루하던 과학 과학책을 만나면서 재밌어졌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책을 읽어온 그이지만, 특히 과학책은 “너무 늦게 만난 친구이자 스승같은 존재”다. “학교에서는 지루하기만 했는데, 과학책을 번역하며 과학의 재미를 느꼈다”며,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좀 더 어렸을 때 과학책을 접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과학의 세계를 일찍 알았다면, 제 진로는 ...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등 지원혜택 다양해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국가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기업, 정부, 학교가 힘을 모아 만든 계약학과다. 기업에서 세계적 인재를 키워 자신의 기업으로 유입하려는 제도이기 때문에 입학과 동시에 여러가지 지원 혜택이 따라온다. 4학년까지 등록금을 전액 지원받을 수 있고, ... ...
- 필즈상 수상이 영재에게 미친 영향은? 나도 수학자가 될 수 있다는 확신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교수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습니다. 가 5월 24일부터 6월 2일까지 영재학교 8곳, 과학고 20곳 재학생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136명이 응답했는데요.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이 본인에게 특별한 영향을 줬다고 대답한 비율이 86%(117명)나 됐어요. 영향을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 ...
- [수학연구] 수학을 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강진현 /경북과고 1학년 : 교수님께 수학이란 무엇이고 왜 수학 연구를 하나요? 현실적으로는 직업이니까, 둘째로는 재미있으니까 해요. 직업이어도 재밌지 않으면 안 하겠지요. 새로운 발견을 하는 과정에서 다른 데서는 느낄 수 없는 특유의 중독성이 있거든요. 새로운 발견이라고 하면 과학에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