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d라이브러리
"
퇴화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쌍의 유두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의 태아에도 십여쌍의 유두 바탕이 있다. 정상인 사람은
퇴화
하여 나타나지 않으나 어떤 사람은 이상 발육하여 버금젖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이상과 같은 흔적 기관에서 우리는 진화를 생각해 볼 수 있다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특정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발견되지는 않았다.특히 인간에게서 이 기관은 아주 작고
퇴화
된 기관으로 여겨져 왔다. 이번에 록스사의 연구자들은 인간의 페로몬이 이 기관에 작용, 시상하부에 직접 연결되는 경로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주장이 상업주의에 의한 것인지, 과학적 근거가 있는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수 없는 빈약한 흉골(胸骨)과 긴 꼬리에는 척추골로 된 꼬리뼈가 있었다. 날개 끝에 아직
퇴화
되지 않은 앞발이 남아있는 점 등은 파충류인 공룡의 특징들이다(시조새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93년 8월호 참조).사진으로 밖에 볼수 없는 조선 시조새에 대해서는 아직 과학적으로 깊이 연구된 바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일이 종자를 받을 식물의 꽃에서 수술을 제거하여야만 한다. 웅성불임은 수술이
퇴화
되므로 이런 제웅 작업이 필요없어 제웅작업에 드는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다. 최근들어 자연상태에서 일어난 돌연변이중 웅성불임인 식물들이 소수 발견돼 종묘회사들이 F1 체종에 이용하고 있으며 방사선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새끼들은 온몸에 보송보송한 하얀 털로 덮여 있다. 잘 이루어진 자연보호날개가
퇴화
돼 날지 못하는 가마우지도 흥미거리다. 녹청색 눈과 긴 부리, 그리고 짧은 날개를 가진 이 새는 갈라파고스에먼 서식하는 조류다.다윈방울새는 몸길이가 10-20cm로 몸색깔은 갈색이나 검은 색이다. 한 종(種)에서 ... ...
꽃가루의 힘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나머지 나자식물(은행, 침엽수)은 공룡시대에 번성했지만 개화식물이 출현하면서 서서히
퇴화
되었다. 오늘날 침엽수가 번성한 데 비하여 소철류는 종도 다양하지 못하고 주로 열대지방에만 남아 있다. 야자류와 양치류의 중간에 걸쳐 있는 것으로 보이는 대부분의 소철류의 꼭대기는 굵은 줄기 끝에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불리는 새가 있는데, 이는 아비(물새의 일종)와 유사한 모양의 새로서 앞쪽 관절이 아주
퇴화
돼 있었고 구조는 나는 새와 같다.이 백악기에서 다시 3천만년 후에는 이미 화석이 많이 발견됐다. 화석으로 밝혀진 것은 헤스페뢰니스(Hesperoenis)로서 역시 날수 있는 아비의 일종이었다. 그리고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양서류에서 파충류로 진화하면서 뇌도 조금씩 커져간다. 여기에서 소뇌는 도리어
퇴화
된 것처럼 보인다.하등한 동물일수록 뇌에 비해 척수가 무겁고 고등한 동물일수록 체중에 비해 뇌가 크다. 이는 동물이 진화됨에 따라 통합 작용이 척수에서 뇌로 옮겨지고 있음을 나타낸다.사람의 경우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전신은 1주일 정도에서
퇴화
하며 대신 중신이 발달한다. 중신도 후신의 발달에 따라
퇴화
해 간다.신장의 구조는 바깥층인 과립상의 피질과 내층인 수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nephron)은 피질로부터 수질쪽으로 배열돼 있다. 한쪽신장은 약 1백만 개, 양쪽에 2백만 개의 ... ...
생명체 보존 위해 세포가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변태과정을 거쳐 아름다운 나비로 성장한다. 애벌레 시절 연동운동을 담당했던 근육은
퇴화
하여 단시일 내에 없어지고 만다. 올챙이가 개구리로 성장할 때도 주요 운동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꼬리는 단시간 내에 없어져버린다. 이 때 근육세포의 죽음은 병적인 것이 아니고 생물의 변태 분화 발생에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