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합
통합
단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공유
d라이브러리
"
통일
"(으)로 총 708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내부를 지배하는 역학법칙을 밝힘으로써 소립자의 창생 소멸과 복잡한 각종 상호작용을
통일
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소립자가 서로 반전한다는 사실은 소립자가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며 이 상호 반전 과정을 초래하는 것이 소립자 사이의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역법은 계산에 사용된 기본상수나 계산 기법이 다를 경우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통일
신라의 인덕력(麟德曆), 고려의 선명력(宣明曆), 그리고 고려 후기 충선왕 때부터 사용한 수시력(授時曆) 등이 모두 중국식 천문학과 수학의 전통을 따르는 중국 역법을 수입한 것이다. 원의 중심각이 365.2425도인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많이 듣는다.그의 글쓰기 노하우는 의외로 단순하다. 간결하고 명확하게 쓸 것, 용어를
통일
할 것 그리고 논리적인 연결에 집중할 것. 서울대에서 글쓰기 강의를 하면서 그는 “과학적인 글쓰기는 하나의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그가 생지화학적인 순환에 대한 두 편의 논문을 세계적인 과학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최후를 맞이하고 말았어.지금처럼 모바일의 혜택이 있었다면 유비 형님을 도와서 삼국
통일
을 이룰 수 있었을 텐데…, 분하다!바람처럼 달려라, 파발마!아이구, 이 녀석아. 좀 빨리 달려! 아직도 갈 길이 먼데 벌써 말이 지치다니 큰일이네. 이 말은 조선시대 때 우리 전령들이 타는‘파발마’야. 말은 ... ...
바닷속에 정말 문무왕의 유물이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수중릉이라는 것은 확실한 사실이지요.그토록 염원하던 삼국
통일
을 이뤘으나 힘센 당나라로부터 영토를 뺐기고 호시탐탐 위협에 시달리던 것을 원통해하던 문무왕. 죽어서도 나라를 지키겠다는 그의 의지가 1500년에 가까운 세월동안 우리나라를 보호해 준 것 같아 가슴이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거푸집은 60~70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도 20% 정도 단축시킬 수 있다그리고 규격이
통일
된 주택을 만드는 데는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오차도 거의 없기 때문에 주택의 양산화에는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한 반합성의 남성호르몬 무취이고 백색 및 미황색의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시작했다고 한다.지금 쓰고 있는 척관단위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하면서 거래 단위를
통일
시키는 과정에서 정해진 것이다. 대한제국이 도량형에서조차 일본에 예속되면서 일본이 우리 경제를 수탈하는 길을 열어준 사건의 잔재인 셈이다. 역설적이게도 현재 척관법의 원조인 중국과 우리에게 ... ...
어과동과 함께 월드컵 역사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생각되던 80년대 말 독일 대표팀은 조직력의 진수를 보여 준다. 1990년의 독일 대표팀은 막
통일
을 이뤘던 독일에게 세 번째 우승을 안긴다. 결승전 상대는 천재 골잡이 마라도나가 이끄는 아르헨티나. 한 명의 천재보다 클린스만, 마테우스, 헤슬러 등이 만들어 내는 조직력의 힘이 더 우수했던 것이다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각기 자기 나라를 기준으로 지도를 제작했기 때문에 나라마다 경도가 달랐다. 이 때문에
통일
된 자오선 기준이 필요했다.1870년대에 들어 어느 곳을 세계 경도의 기준으로 삼느냐가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1871년 벨기에의 안트베르펜에서 그리고 1875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세계의 표준자오선인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만들고 m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전체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SCR와
통일
한 특성을 가지게 한 반도체소자질산암모늄 고체에 마른 암모니아 가스를 보내 염이 암모니아를 흡수하고 점차 액체화하여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다이버스용액이라고 한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