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체"(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근처의 외계행성 K2-18b 대기에서 물의 존재를 찾아내 2019년 ‘네이처 천문학’(9월)과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12월)에 각각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50-019-0878-9, doi: 10.3847/2041-8213/ab59dc 물론 K2-18b는 질량이 지구의 9배이고 크기도 2배나 되기 때문에 지구와는 환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특정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연주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물리학센터 EU연구원은 “안테나에 수신된 스펙트럼에서 무엇이 물질에 대한 신호이고, 무엇이 노이즈인지 제대로 구분해내지 못했다는 뜻”이라며 “현재는 금성 대기에 포스핀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관측된 물질분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세페이드형 변광성, Ia형 초신성 등 다양한 천체를 통해 측정한 주변 은하들의 3차원 위치 정보로 가상 우주의 초기 조건을 만들죠. 이렇게 만든 초기 가상 우주를 현재까지 진화시켰을 때 우리가 관측한 정보가 모두 재현되면 과거 물질분포를 정확히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ISS)처럼 사람을 태우고 지구 주위를 도는 유인인공위성도 있지만 사람 없이 천체를 관측하며 수집한 데이터만을 지구로 보내는 무인인공위성이 많습니다. 무인인공위성은 한 번 쏘아 올려 적당한 궤도 위에 안착시키면 별다른 조종을 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궤도를 유지하면서 지구를 관찰하죠. 그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블랙홀 회전에너지를 뽑아라 천체물리학자들은 블랙홀을 머리카락이 없는 머리에 비유하기도 한다. 머리카락은 블랙홀을 구분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을 비유한 표현이다. 블랙홀은 질량과 각운동량, 전하 등 세 가지 물리량만을 외부에서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마쿠흐 교수가 이끄는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물리학 연구소팀은 국제학술지 ‘천체생물학’에 생명체가 번성하기 위한 행성의 조건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생명체가 최대한 번성하려면 현재 지구 평균보다 5℃가량 높아야 합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약 14℃이므로 20℃ 정도의 행성이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1942년 미국의 SF 작가 잭 윌리엄스의 소설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다. 지구가 아닌 천체에 지구 환경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1961년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테라포밍을 진지한 연구주제로 삼았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금성 대기에 광합성을 하는 조류를 뿌려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당시의 모습과 상태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천체예요. 질량이 큰 행성과 같은 천체는 중심부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 내부 구조가 핵, 맨틀, 지각 등으로 분리되어 만들어져요. 이런 이유로 생성 당시 원래 가지고 있던 구성 성분이 달라졌죠. 이와 달리 소행성은 크기가 작아 내부가 분리되지 않고, ... ...
- [과학뉴스] 우주 전체 촬영하는 ‘스피어x’ 천문연·NASA 공동 제작 돌입과학동아 l2021년 02호
- 102개의 색깔로 세밀하게 관측해 이 정보들로 우주에 존재하는 20억 개에 달하는 개별 천체들의 분광 목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피어x는 2024년 발사될 예정이다. 스피어x 한국 연구책임자인 정웅섭 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과거 차세대 소형위성 1호 과학탑재체인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UST) 천문우주과학 전공 박사과정 연구원의 경우,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투고한 논문이 지도교수의 프로시딩(학술대회 보고서)과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표절로 판명된 사례가 있다.논문 유사도 검사 수치가 낮다고 해서 무조건 표절이 아니라고 단정 지을 수도 없다. 유사도가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