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내
와이프
집사람
안식구
부인
마누라
d라이브러리
"
처
"(으)로 총 365건 검색되었습니다.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이들 소행성들은 태양과 목성을 긋는 선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꼭지점 근
처
에 모여 있다. 이곳은 중력의 '말안장'이라는 곳으로 소행성이 지나가다가 이 말안장에 잡혀버리는 곳이다. 따라서 일정한 소행성의 수가 이곳에서 유지된다(그림4). 따라서 목성은 이들 소행성들을 마치 목자가 ... ...
혈액 DNA 감정 11년 전 범죄 밝혀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수 있고 친자감별도 가능하다.DNA 감정으로 밝혀진 범인의 진술로 피살된 전무의 전
처
와 폭력단 단장이 속속 체포됐다. 이들은 피살자에게 걸린 9천만엔(약 7억2천만원)의 생명보험금을 노리고 이같은 범행을 저질렀음이 밝혀졌다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빛이 파란색이니 우리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파란색이 되고 마치 하늘이 파란 것
처
럼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해가 뜨고 질 때에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밀도가 높은 두꺼운 대기층을 통과해야 한다. 이때 파란색 빛은 산란에 의해 점차 사라지게 되고 붉은색만이 남게 된다. 이것이 태양이나 달이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깊은 해연까지의 거리는 약 19㎞가 된다. 이것은 서울에서 안양까지의 거리로 매우 먼 것
처
럼 여겨지지만 부산까지보다는 1/20 정도이며 자동차로 가는 사람에게는 짧은 거리에 속한다. 더구나 지구의 반지름에 비하면 0.3% 정도로 작은 값이어서 무시될 수 있다.사실 지구의 실제 모습을 반지름이 1 ... ...
1. 지구는 생물이 살기 알맞도록 환경을 조절해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데이지들의 기후조절 능력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러브록의 데이지 세계 모델은
처
음에는 학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가이아의 기후조절 능력을 입증하기 위하여 개발됐다. 그러나 퍼스널컴퓨터 보급으로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급증하면서 1980년대 말부터는 데이지 세계 모델의 ... ...
PART.1 게임을 제대로 즐기려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구입할 수 있다. 가격은 아케이드와 스포츠 게임의 경우 5천원-1만 5천원 정도며, 어드벤
처
나 시뮬레이션, 롤플레잉 게임은 2만원-3만 5천원 정도. 개중에는 4만원이 넘는 제품도 있다.컴퓨터 게임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함께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서울대 신문학과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것이 낫겠다"고 농담하기도 한다.마치 중요한 공연을 앞둔 무용수 바리시니코프
처
럼 무스그레이브는 이 순간을 대비해 왔다. 거울의 커버를 벗길 때, 우주복에 쌓인 그의 몸의 각 부분들이 정확히 어디에 가 있어야 할지 그는 너무도 잘 알고 있다.지난 봄까지, 무스그레이브의 수첩에는 그들이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초전도현상을 일으킬 때 전자는 파동적 성격을 띤다. 또 저항 없어질 때 전자는 기체상태가 아니라 액체상태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 후속 연구 결과와 신제품이 쏟아져 나올 것이다. 이것은 마치 프로메테우스의 횃불
처
럼 우리 인류에게 던져진 미래의 불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현상을 유성우라 한다. 별똥이 비오듯 많이 떨어진다는 말이다. 보통 지구가 혜성 궤도 근
처
를 지나갈 때 유성우가 되므로 매년 주기적으로 나타나게 된다.별똥은 초저녁보다는 자정이 지난 다음 많이 떨어지고 별똥의 속도도 자정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한다. 이유는 초저녁에는 지구가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못지않게 죽은 뒤에도 의학계와 일반의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일반에 알려진 바
처
럼 아인슈타인은 1955년 미국 프린스턴 병원에서 대동맥류 파열로 세상을 떠났다. 그뒤 그의 두뇌가 실험용으로 보관돼 있다는 '소문'은 심심치않게 들려왔는데, 이는 한 전기작가의 글에서부터 비롯됐다. 로널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