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위해 음모의 큐티클이 더 많아졌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제 검증 실험을 진행했다. 머리카락과 음모가 오줌과 유사한 환경에서 어느 정도 손상되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머리카락과 음모를 극한의 산과 염기 용액에 넣고 적외선 분광 현미경(FT-IR)으로 관찰했다. FT-IR은 털의 화학적 변화를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KAIST 실패연구소에선 2023년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학생들은 사진을 왜 찍었는지 메모도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다면 어떤 분야일지 등을 학생들이 자유롭게 발표합니다. 이런 과정을 3주 정도 진행하면 논문을 근거로 더 연구할 영역을 자연스럽게 학생 스스로 찾게 되죠. 영재는 남보다 적은 자극으로도 남들만큼, 혹은 그보다 더 나아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그들에게 적절한 자극을 주는 교사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로봇을 움직이고 약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외부 자기장으로 로봇을 조종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EMA(Electromagnetic Actuation) 시스템을 이용하는 연구가 있다. EMA 시스템은 전자석을 이용해 침습 없이 몸속 로봇을 움직이는 시스템이다. EMA 시스템 내 코일에 전류를 흘려 유도한 자기장으로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몰려드는 것이다. 언론에서는 이 현상을 ‘삼삼칠 효과’라고 불렀다.2시간 동안 진행된 눈먼 짐승 2호의 시스템 최종 점검이 마침내 끝났다. 드디어 무한 고속도로에 뛰어들어서 레이싱을 다시 시작할 때가 온 것이다. *삼삼칠이 눈먼 짐승 2호의 운전석에 앉은 채로 ‘대기실’에 있었다. 이곳은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 있지요. 현재는 클라리온 클리퍼톤 해역 내의 생물 보존 구역을 설정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 해저면에 사는 생물들을 조사하여 생물 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선정해 이를 보존하면, 그 지역에 사는 생물들이 채굴에 의해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 이주해 생태계가 자연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수학자가 증명을 통해 수학을 발전시켜왔다. 증명은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도구기 때문이다.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 증명에 관한 논의가 꼭 필요한 이유다. 오늘은 증명의 쓰임과 역사를 통해 그 역할과 중요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첫 번째 질문 | ...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새로운 인간 유전체 분석 결과가 꾸준히 실리고 있다.왜 인간 유전체 분석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인가. HGP 완료 20주년, 인간 유전체 연구의 시작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INTRO. 인간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부분이 상당히 많다. 만약 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가 이 8% 범위 내에 있다면 연구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T2T 컨소시엄 연구팀은 8%의 틈을 메운 연구를 토대로 최신 참조 유전체인 ‘T2T-CHM13’을 발표했다. 생물학자들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더 정확한 지도가 주어진 셈이다. 05인간을 인간답게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취재하기 위해 카메라가 늘어섰죠. 자녀를 데리고 온 일반 시민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진행을 맡은 학생동아리 ICISTS의 회장 김지환 씨(KAIST 새내기과정학부)가 “이번 행사에서 공유한 실패 사례를 통해 여기 계신 모두가 성공의 길로 나아가길 응원하겠습니다”라는 인사말로 행사를 열었습니다.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