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1869년 6월 1일 에디슨의 첫 발명품, '전자 투표 기록기'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TV 뉴스에서 국회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법안을 표결하는 장면을 본 적 있나요? 우리나라 국회의사당에는 전자표결기가 설치되어 있어요. 의원들이 ... 소수의 의견이 무시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전자 투표 방식은 에디슨의 발명 후 100년이 지난 1973년이 되어서야 처음으로 실시됐답니다 ... ...
-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가장 바깥쪽 궤도에 있는 소행성대보다 안쪽 궤도에서 소행성대 두 개를 더 발견했다. 지난 2008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관측한 포말하우트(위). 궤도에 행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흰색). 하지만 2017년 ALMA가 포착한 포말하우트(아래)의 사진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행성을 찾지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담당하시는 김백진 선생님이 수학교류전을 준비할 사람이 필요하다고 하셨어요. 지난 수학교류전에 참여했을 때 어떤 부분을 보완하면 좋겠다고 머릿속으로 구상해 놓은 게 있어서 바로 선생님께 제가 위원장을 맡겠다고 했어요. 그리고 학생회 활동을 오래 해서 행사 기획 경험이 많은 동황에게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만들고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그 자료를 미국 교육부에도 꾸준히 제공했었는데, 지난 5월 두 기관이 STEM 교육 협력을 맺으면서 앞으로 미국 교육부가 NASA의 STEM 콘텐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럽우주국(ESA)도 ESA 아카데미를 통해 초중고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TEM 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 ...
- 와그작! 탕후루 씹는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수가 7개월 만에 8배 늘었습니다. 음식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탕후루 검색량은 1월보다 47.3배 증가했고요. ‘겉바속촉’ 식감과 달콤함이 인기 비결 “식감이 마음에 들어서죠. 주기적으로 돌아오는 새로운 당에 대한 욕망도 있고요.” 9월 22일 만난 최낙언 ... ...
- 킬 스위치로 박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바이러스 같은 감염병의 발병률을 낮췄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옥시텍은 지난 4월 미국 플로리다주에 유전자를 조작한 수컷 모기 300만 마리를 다시 퍼뜨렸어요. 옥시텍은 유전자 조작 모기가 퍼진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감염병 발병률 차이를 비교할 예정입니다. 모기의 ... ...
- 이유 3. 변별력을 놓칠 수 없는 수능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고난도 문제를 이용해 이들을 변별하는 것이 수학에서 중요하게 여겨질 수밖에 없어요. 지난 9월 모평에서 수학 만점자가 2520명이 쏟아지며, 수학에서 변별력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 것도 이 때문이에요.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9월 모평은 반수생이 포함되지 않는 시험”이라며,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셀 수 있고 계산할 수 있는 것, 기하학에서는 잴 수 있는 것이 다 수학적 대상이에요. 지난 번에 미적분학을 다루면서 이 세상의 모든 움직이는 것은 결국 다 미적분학의 대상이라는 이야기를 했었지요. 그렇게 보면 ‘이 세상 모든 게 수학적 대상’이라는 만물 수학주의를 외칠 수도 있어요. 하지만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지금껏 출현한 가장 거대한 동물과 동시대를 살 수 있다니 영광스럽지 않은가. 그런데 지난 8월 2일, 가장 무거운 동물의 지위를 바꿀지도 모르는 연구가 발표됐다. 주인공은 약 3900만 년 전 바다에 살았던 고대 고래다. 몸무게만 340t, 페루에서 발견된 고대 고래 약 3900만 년 전, 신생대 에오세기의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처음으로 제기했습니다. 그 후 수많은 수학자들이 답을 찾아 헤맸죠. 바로 그 해답이 지난 8월 밝혀졌습니다. 거의 50년 만입니다. 이번에는 뫼비우스 띠 A를 보면서 읽어주세요 리차드 이반 슈바르츠 미국 브라운대 수학과 교수는 4년을 고민한 끝에 ‘티 패턴’이라는 보조 정리로 질문의 답을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