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가장 오랫동안 이어진 실험을 아직도 진행하고 있다. 세상에는 겉보기와 다른 물질들이 존재한다. 피치(pitch)가 그렇다. 피치는 검고 끈적끈적한 탄화수소 화합물 덩어리이다. 석유나 콜타르, 식물을 증류해 만든다. 옛날부터 나무배의 틈 사이로 물이 새지 않도록 바르거나, 와인이 흘러 사라지지 ...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집합을 좌표평면에 표현하면 원이 그려지지요. 이러한 추상화 과정을 통해서 현실에 존재할 수 없는 도형도 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2차원의 원, 3차원의 구를 넘어 임의의 n차원 도형도 식으로 나타내 길이, 넓이, 부피를 ‘잴 수’ 있게 된 거지요. 기하학 덕분에 우리가 다룰 수 있는 도형의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누구는 뇌를 복사해 영원히 살 수 있다고 했지만 수잔은 그 복사본이 원본과는 전혀 다른 존재라고 믿었다. 어쨌든 원본은 죽기 마련이니까. 수잔은 핍을 그렇게 죽게 내버려 둘 수 없었다. 수잔은 망가진 우주복을 빠르게 입고 운전대에 앉았다. 핸들을 기울이며 그대로 우주선을 향해 돌진했다 ...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어셈블로이드를 만들었습니다. 이번에는 각각의 서로 다른 오가노이드 부분들이 가까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신경세포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뇌 오가노이드 부분에만 신호를 줘도 그 신호가 척수 오가노이드를 거쳐 근육 오가노이드의 수축으로까지 ... ...
- [논문탐독] 수소 에너지를 현실로 더 가까이, LOHC 신소재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짧은 LOHC 기술이 더욱 향상될 필요가 있습니다. LOHC 기술은 상온상압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유기물에 수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해 운송하는 방식입니다. 촉매로 수소화 반응 또는 탈수소화 반응을 유도해 액체 유기물에 수소를 저장했다가 다시 추출하는 기술이죠. 이를 위해서는 크게 소재 기술, ... ...
- 생명의 블록, 어떻게 맞춰졌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수 있지만,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호기심 중 하나”라고 말한다. 생각을 가진 인간이 존재하는 한, 생명의 기원은 끝없이 탐구될 수밖에 없는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마지막으로 “그동안 생명의 기원을 연구하는 한국 연구자를 많이 만나지 못해 아쉬웠다”며 “국내에도 생명의 기원을 파고드는 ... ...
- [러셀 탐구생활] 제5장. 사랑으로 구원 받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공부하면서 그런 경험을 적잖이 했습니다. 하루는 밤늦게까지 집합론을 공부했는데, ‘존재하는 모든 집합은 표현 가능한가?’라는 집합론의 핵심 주제를 만났어요. 우리가 논증할 수 있는 것의 한계까지 생각한다는 점이 너무나도 신비로웠는데요. 그래서 침대에 누워서도 머릿속에서 둥둥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유령 은하의 심장이 감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가설을 가슴 속에 품고 다시 이 유령의 심장을 바라보자. 무엇이 보이는가? 아직 그 존재를 들키지 않고 잘도 숨은 거대한 블랙홀? 한창 은하 중심으로 빠르게 유입되며 해체 중인 성단들? 아니면 그 너머에 숨은 더 먼 새로운 은하? 아직 그 답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어떤 결말을 보더라도 모두 놀랄 ... ...
-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수학적인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 살아있는 생명인 식물 속에 매우 다양한 수학적 법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연구생 시절 식물공장에서 키운 식물의 데이터를 수집하던 중에 아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샘플 수백 개의 데이터를 분석하니 각 개체의 잎과 뿌리 간 무게의 비율이 특정 숫자로 ... ...
-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사고로 상반신을 잃은 사이보그가 온 힘을 다해 살아 있음을 증명해내는 ‘절반의 존재’는 인간과 비인간을 가르는 경계를 성찰하도록 이끈다.지금의 현실과 언어를 넘어선 이 탐험들의 의미는 무엇일까. “야만스러움을 자랑하는 사회”에서 내 삶의 사소함을 잃지 않고 가꾸는 것, 또는 그런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