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신줄
케이블
전기선
제일선
전깃줄
선
와이어로프
d라이브러리
"
전선
"(으)로 총 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술가가 우주를 보는 방법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칼렙 찰랜드의 ‘빛으로 돌아가다(Back to Light)’ 시리즈의 일환으로, 다양한 과일을
전선
으로 잇고 양쪽에 아연판과 구리판을 꽂아서 전기를 흐르게 만든 작품이다. 원리는 이렇다. 아연판이 과일 안에 든 산성 성분(구연산 등)과 만나면, 아연판이 부식하면서 전자를 잃게 된다. 이 전자가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령 천과 천 사이에 전류가 통하는 전도체를 한 겹 끼워 넣는다면
전선
없이 장난감 내부에 전기를 흘릴 수 있는 거죠. 내년쯤엔 이 기술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만들어 팔아봐야겠어요.우리 어린이들 색칠 공부책 좋아하죠? 하긴 요즘은 어른들도 스트레스 푼다고 컬러링 북에 푹 ... ...
[과학뉴스] 귀성길 지긋지긋한 멀미, ‘모자’로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오히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르샤드 박사는 “스마트폰 이어폰 연결 부위에
전선
을 꽂아서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라며 “5~10년 내로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이달의 사물] 천일염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 논문이 평소 천일염의 안전성에 의구심을 품고 있던 황 씨의 손에 덥석 잡혔습니다.
전선
은 순식간에 중금속에서 세균으로 이동했습니다. 사실 세균 위험성도 천일염의 다른 논쟁거리처럼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천일염의 안전성을 연구한 논문의 상당수가 안전하다는 쪽으로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흔들린다). 잠수함이나 배의 진행을 방해할 정도로 에너지가 크다. 바람이 세게 불 때
전선
에서 ‘윙윙’ 소리가 나는 원인도 카르만 소용돌이다. 볼텍스 블레이드리스사가 개발한 막대형 풍력발전기 ‘볼텍스’는 바로 이 같은 공기 소용돌이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다.제품은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강단에 몰려들어 질문하는 통에 강연자들이 강단을 떠나지 못했다. 생명과학연구의 최
전선
에 있는 과학자들과 미래의 생명과학자를 꿈꾸는 고등학생들이 스스로 만든 토론의 장이었다.행사에 참석한 이세인(가재울고 2년) 학생은 “예쁜꼬마선충이 사람과 유사한 신경체계를 갖고 있다는 게 정말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성질로, 이 때문에 플라스틱은 처음 만들어졌을 때부터
전선
을 감싸거나 전자제품의 외형을 만드는 데 사용됐어요. 덕분에 우리는 전자 제품을 쓰면서도 감전될 위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었지요. 그런데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는 상식을 뛰어넘은 플라스틱이 있어요.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건 뇌가 명령을 내리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약 100조 개나 되는 신경세포가 온몸에
전선
이 퍼져 있는 것처럼 이어져 있다. 신경세포는 전기신호를 주고받으면서 뇌가 내린 명령을 운동기관까지 전달한다. 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수학 모형으로 만들어 동물이 걷는 원리를 연구한다.영국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크기의 코일이 놓여있었다. 그다지 복잡해 보이진 않았다. 자석같이 생긴 철심에
전선
이 둘둘 말려있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십(+)자 형태로 놓여 있는 구조였다. 두 개의 막대를 이용한 방식이라고 해서 ‘다이폴코일 공진방식’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무선충전되는 것을 확인하고 싶다고 요청하자 임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수재였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아마도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취소되면서 16살부터 직업
전선
에 뛰어들어야 했다. 학업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 않은 앨퍼는 조지워싱턴대 야간학부를 다니면서 물리학을 공부했다. 그는 르메트르의 논문을 읽으며 우주탄생에 대한 궁금증을 키워나갔다. 가모프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