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난
사고
재앙
난리
손해
위해
화재
d라이브러리
"
재해
"(으)로 총 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슬픔이 아픔이 되는 비극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대한 기억은 무엇보다 강력하다. 한번 일어나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자연
재해
는 우리 마음속에 내재돼 있는 가장 강렬하고 원초적인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공포는 우리의 의식구조 속으로 슬금슬금 들어와 불안과 두려움을 채워넣는다.문제는 이런 기억이 자리 잡히면 나중에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죽었다. 현재 기술로 화산 분화는 막을수는 없지만 위험한 화산을 식별하고 잠재적으로
재해
를 피할 수는 있다. 과학자들은 화산이 분화하기 전에 일어나는 지진, 화산이 부풀어오른 정도, 가스 분출 등을 탐지하고 있다. 지진파로 마그마 방이 얼마만큼 상승해 있는지 파악할 수도 있다. 또는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우리가 독도를 지키기 위한 목적이 크다. 하지만 정작 방사능과 지진해일, 지진 같은
재해
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것은 독도다. 이는 독도와 우리가 서로 아끼고 염려하는 필연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건 아닐까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내려갈 것으로 예측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일본 및 중국의 관계기관과 함께 자연
재해
통제시스템을 포함해 좀더 정확하게 기상예측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백두산에서는 소규모 분화가 1413년, 1597년, 1668년, 1702년, 마지막으로 1903년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돼 있다. 한편 일본에 있는 13개의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예상파고뿐 아니라 대피장소와 대응 방법이 담긴다. 소방방재청은 이 침수예상도와
재해
정보를 담은 ‘지진해일대응시스템’을 2014년까지 구축해 해당 자치단체와 주민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전문가들은 지진해일 경보가 울리면 무조건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조언한다.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안전에 여전히 의구심을 표하는 사람도 많다. 이번 사고가 인류가 예측하기 어려운 대형
재해
에 인간의 기술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 줬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전 기술 덕분에 인류가 누리고 있는 혜택 또한 많은 것 또한 사실이다. 신중한 논의와 접근이 필요하다. 일본을 강타한 규모 9.0의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안에 발사할 계획입니다. 환경오염도 크게 줄겠지요.김: 인공위성의 수명을 늘리고, 자연
재해
로 고립된 곳에 전기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화성이나 달 기지를 개발할 때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면 우주개발도 훨씬 쉽게 될 것 같습니다. 무선전력전송 기술의 미래가 기대됩니다.김진유 군은 ... ...
“좋아하는 과목 공략이 금메달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구온난화나 기상악화를 해결할 수 있는 과학자가 되고 싶어요. 그래서 우리나라의 자연
재해
를 최소화한다면 보람이 있을 것 같아요.” 그는 다른 학교에 다니는 친구들과 이야기를 하면, 지금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아진다고 말한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학습과 편의를 최대한 지원하고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 우주엘리베이터가 완성될 경우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구조물이 되므로 자연
재해
나 테러로 무너진다면 사상 최악의 재난이 일어난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돈이다. 우주엘리베이터를 연구하고 건설하는 데는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주여행이 흔한 일이 ... ...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끼거나 어두운 밤에도 전천후 관측이 가능하다. 현재 운영 중인 아리랑 2호와 연계해 재난
재해
감시 및 각종 자원 이용실태 파악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