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존"(으)로 총 1,36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보어드바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국 이후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문의가 급증했다고 합니다.하지만 과도한 기대와 의존은 금물입니다. 알파고와 로보어드바이저는 엄연히 다른 인공지능이기 때문입니다. 또 알파고의 실력은 하루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닙니다. 과거에 기록된 기보를 통해 수천만 번 착점을 하면서 학습한 ... ...
- [지식] 배구, 스마트하게 변신하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나타내기 때문에 팀과 선수에 대한 정보를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막연하게 직감에만 의존했던 선수들도 본인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다.[윙스파이커★주로 네트 근처에서 공격에 가담하는 선수.]우리에겐 21번째 비밀 병기가 있다!스카이워커스의 모기업인 현대캐피탈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수꽃에서 나오는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암꽃에 날아간다. 하지만 바람 방향이나 세기에 의존해야 해 수분★확률이 낮다.그래서 식물은 곤충을 이용해 번식하려는 전략을 세웠다. 그러면 곤충을 어떻게 끌어들어야 할까? 보고는 절대 지나치지 못할 정도로 엄청난 매력을 발산하는 것이다! 달콤한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사람들은 언제쯤 알파고를 상대할 수 있을까.감 1997년에 체스를 정복한 딥블루도 모양에 의존해 체스를 뒀다. 이런 딥블루를 구동하기 위해 특별 제작된 특수 하드웨어가 필요했다. 딥블루는 하드웨어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문제가 해결됐지만, 알파고는 학습 기능을 빼고 바둑을 이기는 데에만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겉으로 알 수는 없지만, 뇌 신경전달물질과 관련된 유전자도 술버릇을 결정해. 알코올 의존증은 대뇌보상회로와 충동조절회로의 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예를 들어, 중독 물질이 들어와 보상회로에 작용하면 즐거움이 생기고 ‘긍정적 재강화’를 일으켜 계속 중독물질을 찾게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교차반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를 ‘항체 의존성 강화’라고 부른다.항체 의존성 강화는 원래 뎅기바이러스의 네 가지 혈청형 사이에서 주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형제처럼 닮은 두 바이러스 A1과 A2가 있다고 하자. 먼저 A1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 면역계가 반응해 바이러스를 ... ...
- [News & Issue] 더우면 수컷되는 악어,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같은 대다수의 파충류는 알이 부화되는 온도에 따라 새끼의 성별이 바뀐다. 이를 ‘온도 의존성 성결정(TSD)’이라 하는데 일본 연구팀이 그 원인을 찾아냈다.일본 국립기초생물학연구소 이구치 타이센 교수팀은 ‘TRPV4’라는 단백질이 북미산 악어(Alligator mississippiensis) 새끼의 성을 결정한다는 ... ...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채워도, 의지력은 결국 한정된 자원이다. 때문에 심리학자들은 어떤 일을 할 때 의지력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예 쓰지 않고도 해야 할 일을 너끈히 할 수 있는 좋은 습관을 들이라고 조언한다. 식습관이나 운동습관 같은 작은 습관부터 직장에서 일에 열중하거나 꾸준히 공부를 하는 습관 등을 평소에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활동하는 곤충은 눈이 잘 발달돼 있지만, 야행성 곤충은 시각 대신 후각이나 촉각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며, “야행성 곤충은 빛의 밝기에도 민감해 빛을 보면 모이거나 아예 행동을 멈추고 가만히 있는다”고 설명했어요. 예를 들어 사슴벌레 수컷은 빛을 보면 바로 구멍 속으로 대피하고 암컷은 ...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점이다. 반드시 다른 동물이나 식물, 세균을 통해서만 증식할 수 있다. 다른 생물에 의존해야만 증식할 수 있다는 뜻이다.프린시스 크릭과 제임스 왓슨은 구에 가까운 일부 바이러스가 정다면체 중에서도 ‘정이십면체’라고 추측했는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 수학적인 근거가 있다. 먼저 단백질이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