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기원
출처
근본
뿌리
원인
수원
d라이브러리
"
원천
"(으)로 총 547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참여했다. 한국 학자로는 김 교수가 유일하다.그는 “창의연구단에서 개발한
원천
기술을 토대로 산업에 응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기반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연구단이 셀룰로오스에서 ‘금맥’을 캐낼 그날을 기대한다. Interview 김재환 단장“‘마법 종이’ 꼭 만들 겁니다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평형이 유지되는 상태 이때의 열평형은 빛의 흡수 · 방출이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따르고
원천
함수(源泉函數)가 플랑크의 복사함수로 주어질 때를 말한다태양의 코로나 ·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 성간공간(星間空間)처럼 밀도가 작은 가스체에서는 이런 상태가 나타나지 않지만 밀도가 ... ...
"경제와 삶의 질
원천
은 기초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유 이사장은 “우리 과학이 발전해 인류에 기여하며 노벨상을 받는 연구성과가 나오고
원천
기술을 개발해 퀄컴이나 도요타 같은 세계적 기업이 탄생하길 바란다”며 기초기술에 대한 애정을 끝까지 숨기지 않았다 ... ...
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말하듯, 후손의 게놈에 선조의 식습관이 반영됐다면 무리일까.한국인‘밥 힘’
원천
은 아밀라아제 유전자 개수흰쌀밥, 콩밥, 현미밥, 흑미밥, 잡곡밥…. 밥의 종류를 잠깐 세어봤을 뿐인데 벌써 다섯 손가락이 부족하다. ‘밥이 보약’이라고 말할 정도로 한국인은 밥 즉, 쌀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표현해 1등에 오른 것이다.한발 앞선 상상력 배 교수팀의 톡톡 튀는 상상력과 디자인의
원천
은 학창시절부터 정평이 난 배 교수의 감각에 있다. 패션 분야의 미국 최고명문학교 파슨스디자인스쿨을 다닌 그는 졸업하던 해인 1997년에 미국 전체 디자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진대회에서 1등을 ... ...
PART1 생로병사 마스터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다스 시디어스와 다스 몰과 같은 악의 존재로부터 은하계를 구해낼 강력한 힘과 지혜의
원천
이 바로 미토콘드리아라는 뜻이다. 은하계 속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이라는 생명체도 여기서 예외일 수 없다.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에 관심을 기울일 때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포세계 작은영웅 ... ...
토네이도 대해부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평형이 유지되는 상태 이때의 열평형은 빛의 흡수 · 방출이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따르고
원천
함수(源泉函數)가 플랑크의 복사함수로 주어질 때를 말한다태양의 코로나 ·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 성간공간(星間空間)처럼 밀도가 작은 가스체에서는 이런 상태가 나타나지 않지만 밀도가 ... ...
정보디스플레이 및 마이크로플라즈마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에 초대받았다.최 교수는“뒤늦게 PDP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며“‘플라스마’같은 고온의 열정으로 디스플레이 분야의 세계 기록을 경신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lm(루멘)PDP와 LCD처럼 일정한 크기의 화면에서 방출돼 눈에 도달하는 빛의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인터뷰를 청하자 나온 첫마디다. LCD 산업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이 짧은 기간에
원천
기술을 보유한 선진국과 격차를 줄여 당당히 세계 1위를 차지한 사실이 한 교수에게는 꿈만 같은 모양이다.요즘 뜨는 3세대 휴대전화, 현대인의 필수품이 돼버린 노트북 컴퓨터, 고화질 영상으로 가정을 극장으로 ... ...
연금술 전쟁에 출사표를 던지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대체 삼성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한번 보고 싶습니다.”‘퓨처비전 프로젝트’란
원천
기술 없이 복제기술만으로 추격해 오는 한국과 대만을 따돌리기 위한 일본의 전략적 연구과제다. 이 과제의 책임자인 도호쿠대 오미 다다히로 교수는 자국의 소재를 수입해 조립에만 열중하는 한국에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