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국인
이방인
이국인
외국사람
이민
d라이브러리
"
외국인
"(으)로 총 396건 검색되었습니다.
금도 잘 다뤄야 아름다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밖에 되지 않는데 그 중 일곱 점이 우리나라에 있을 정도랍니다. 또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들에게 국립박물관 유물을 구경하고 난 후 가장 인상적인 것이 뭐냐고 물어 보면 대부분 삼국 시대의 정교한 금 공예품을 꼽는다고 해요.금은 워낙 희귀한 금속인데다 그 색깔이나 광채 가 아름답고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TV를 보면 서툰 한국어로 한국 연예인의 이름을 외치는
외국인
‘오빠 부대’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베트남이나 몽골에서도 한국어로 한국 가수의 노래를 흥얼거리며 따라 부르는 젊은이를 쉽게 볼 수 있다고 한다. 중국에는 한국어학과가 개설된 대학이 27개로 학생 수는 3942명이나 된다. 일본에는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체계적·조직적으로 지원하는 영재교육 시스템이 자국엔 없기 때문이라고.대학교수·
외국인
박사가 직접 가르친다한국과학영재학교에는 정규 교사 44명을 포함해 KAIST에서 파견된 전임 교수 12명, 외국 초빙 교수 2명, 계약직 전임 교수 17명, 원어민 교사 3명, 테크니션 등 총 86명이 409명의 학생들을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중국의 남산과 다롄을 점령하기에 이른다. 8월 랴오양 전투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은 ‘
외국인
용빙협정’(外國人傭聘協定, 제1차 한일협정)을 대한제국과 체결해 외교권을 박탈한다.공교롭게 이날은 일본중앙기상대 관측기사 겸 임시관측과장이었던 와다유지가 조선 근무 발령을 받고 인천의 제 ... ...
산업의 쌀을 빻는 방앗간 지기 - (주)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황.철.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하던 바람에
외국인
기술자를 뒷바라지 하는 업무만 하던 그는 ‘이게 아니다’ 싶어
외국인
기술자가 쉬는 틈을 타 일부러 장비에 사소한 고장을 일으켰다. 반도체 공장에 난리가 났는데, 아무도 해결하지 못하자 그가 보란 듯이 나서 문제를 거뜬히 처리했다. 이 때부터 그는 신뢰를 얻어 장비를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처음으로 구성됐다. 인도네시아와 방글라데시에서 유학을 와 박사과정에 다니던
외국인
2명도 연구팀에 포함됐다. 1년 후인 2003년 8월 초음파검사를 통해 처음 임신에 성공한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개 복제는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이식 48일만에 유산이 됐다. 개의 임신기간이 6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통역하는 초소형 입는 컴퓨터가 개발됐다. 시계 모양의 통역 컴퓨터만 있으면
외국인
이 두렵지 않다. 최근 한국 사이버 특공대가 세계 사이버 모의전투에서 1등을 했다.암을 조기에 찾아내는 기술이 개발돼 암은 더 이상 무서운 질병이 아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마을 전체가 로봇과 유비쿼터스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안기억씨는 새봄을 맞아 영어학원에 등록했다. 얼마 후 있을 승진시험에 대비도 하고
외국인
바이어를 만날 때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겠다는 야심찬 포부에서다. 그런데 웬걸. 단어시험 결과 절반도 맞추지 못했다. 학창시절에는 한두번 보면 기억하던 영어단어를 이젠 아무리 외워도 돌아서면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쭉정이는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키가 어디에 쓰이는지 모르는
외국인
도 키를 제대로 잡아 위아래로 흔들어봅니다. 디자인 자체가 사용설명서인 셈이지요.”독일 메르세데스벤츠사의 좌석조절버튼도 형태가 곧 매뉴얼인 대표적인 사례다. 보통 좌석의 높낮이나 각도를 조절할 때는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다.NIH에서 최근 한국 과학자들의 인기는 꽤 높다. 한국 과학자만큼 헌신적으로 일하는
외국인
연구자들은 흔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이종욱 박사가 취임한 이후 NIH 내 한국인 연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취재 당일만 해도 전날 강연차 NIH를 다녀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