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학
산수
위상수학
위상
초등수학
초등
mathematics
d라이브러리
"
수학
"(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연구사는 “사람의 조직마다, 나이마다 달라지는 DNA의 메틸화 패턴을 찾고, 이를 토대로
수학
모델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탄생한 DNA 감식 기술로는 살인을 입증할 시신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도 피해자의 사망 사실을 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범행도구에 묻어있는 아주 작은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2세 데 메디치에게 바치죠. 그 결과 그는 메디치 가문이 다스리던 토스카나대공국의 궁정
수학
자 겸 자연철학자로 임명돼 봉급은 물론 연구에 필요한 공간과 장비를 제공받게 됩니다. ‘메디치의 별’로 메디치 가문의 위대함을 널리 알린 대가였죠. 재력가들은 본인의 돈으로 직접 연구를 ... ...
수학
에 사랑스러움이 가득!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뽀뽀를 부르는 수일까? 입맞춤 수 ‘입맞춤 수’라는 이름만 들으면 뽀뽀의 횟수나 사랑에 관한 수일 것 같아 호기심이 생긴다. 하지만 실상은 몇백 년 동 ...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
자에게 주는
수학
계 최고 권위 학술상이다. 4년마다 열리는 세계
수학
자대회에서 최대 4명까지 상을 준다 ... ...
군침 자극~ 맛있는
수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비밀은 방정식으로Part6.
수학
자의 레시피, 그 맛은?Part7.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
한다! 빼어난 정리Part8.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Part9.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Part10. 어떤 모양도 단번에 나눈다! 햄 샌드위치 ... ...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있는 살아 있는
수학
이다. 실제로 대학교 조리학과에서는 예비 요리사들에게 ‘조리
수학
’ 과목을 가르친다. 특히 부피와 무게, 온도 단위를 전환하는 계산을 아주 중요하게 알려준다. 나라마다 요리법에 사용하는 단위가 달라서, 이를 국제 표준 단위계(SI 단위계)에 맞게 변환해야 하기 때문이다 ... ...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분배가 끝나는 방법이다. 동시에 외쳤을 때는 무작위로 사람을 선택한다. 2016년 호주
수학
자 하리스 아지즈와 사이먼 멕켄지는 사람 수가 n명일 때 nn^n^n^n^n번 칼질하면 케이크를 공정하게 나눌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렇게 자르면 누가 케이크를 입에 대보기도 전에 케이크가 썩을 테니 그냥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난해’라는 것을 증명했다. ‘NP-난해’는 경우의 수를 일일이 직접 따져보는 것 말고는
수학
적으로 일반화한 답을 찾을 수 없는 문제를 뜻한다. 정확한 일반식을 구할 순 없지만, 팬케이크 문제의 원리는 불규칙한 데이터를 정렬하는 컴퓨터과학에서 필요해 더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찾는 연구는 ... ...
수학
자는 동물을 사랑해!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1가지다. 따라서 두 개체의 공통점만으로는 분류하는 게 어렵다. 와타나베는 이런 내용을
수학
적으로 증명하고 ‘미운 오리 새끼 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이 정리는 분류 문제에서 두루 이용된다.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기계학습에서 알고리듬을 짤 때도 쓰인다 ... ...
자연의 절대 법칙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열대어의 피부 무늬 등을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으로 재현했다. 1988년에는 영국
수학
자 제임스 머레이가의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의 해가 화학물질이 반응하는 시기와 태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에 따라 줄무늬인지 점박이 무늬인지 결정된다고 증명했다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걸음걸이를 왜 이렇게 공들여서 연구하는 걸까? 물론 걸음걸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학
적인 규칙 자체도 아름답지만, 그 이유는 바로 안전하게 걸어 다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