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여
하사
허가
증여
증정
기증
교부
d라이브러리
"
수여
"(으)로 총 390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지구촌 리더 키우는 탑스라운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참석한 학생에게는 바이엘과 서강대가 공동명의로 ‘지성인리더십인증서’도
수여
해 자긍심을 높인다. 지금까지는 총 3명이 인증서를 받았지만 앞으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인증서를 받은 학생이 증가하는 만큼 우리사회를 이끌 미래의 글로벌 리더가 많아지는 셈이다 ... ...
올림피아드 어떻게 바뀌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점검하고 공부에 열정이 있는 학생들은 꾸준히 공부할 거라고 생각한다”며 “메달을
수여
하는 것도 격려의 차원에서 주는 교육적 의미”라고 설명했다.신희관 한성과학고 교무부장도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올림피아드의 순기능을 무시할 수 없다”며 “실제로 올림피아드를 준비하던 학생들이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박사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코비 결과가 발표된 지 14년 만에 노벨상이
수여
된 것은 노벨상위원회로부터 그만큼 놀라운 업적이라고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우주를 설명하는 계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물꼬를 텄다는 평가를 받았다.최근 우주배경복사 관측용 위성은 ... ...
“작지만 강한 대학 GIST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세계적 공대와도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한 수준이다. 지난 2월 18일 열린 ‘2008년도 학위
수여
식’에서도 GIST의 이 같은 전통은 이어졌다. 이날 학위를 받은 박사 22명은 1인당 평균 5.96편의 SCI급 논문을 발표했고, 이들 가운데 GIST 생명과학과 강길부 박사는 무려 23편의 SCI급 논문을 게재해 화제가 됐다 ... ...
기세 오른 한국 수학, 국제수학자대회 유치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수학자가 몰려들 만큼 매머드급 규모를 자랑한다. 특히 대회에서 당대 최고 수학자에게
수여
되는 ‘필즈 메달’의 권위는 노벨상에 견줄 만하다는 게 학계 설명이다. 노벨상에 없는 수학 부문을 필즈 메달이 사실상 대신하고 있다는 뜻이다. 한국은 박 유치위원장 주도로 지난해 11월 IMU에 대회 유치 ... ...
목숨을 담보한 뱀파이어와의 러브스토리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유무에 따라 A형, B형, O형, AB형으로 나뉜다. 그리고 수혈할 때는 반드시 혈액 공여자와
수여
자의 Rh와 ABO 두 가지 항원의 혈액형에 맞춰야 한다. 그렇다면 혹시 뱀파이어가 벨라의 피를 먹었을 때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수혈은 피가 부족한 사람의 혈관에 피를 공급하는 일이다. 엄밀하게 말해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2000년부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를 맡고 있는 김 단장은 2004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수여
하는 제8회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했다.“제가 연구를 시작한 1990년대 후반만 해도 시냅스 분야는 생명과학의 ‘블루오션’이라고 할 수 있었죠. 그런데 지금은 점차 경쟁자들이 넘쳐나는 ‘레드오션’으로 ... ...
천연섬유의 변신은 무죄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친환경 자동차를 보급한 공로를 인정해 포드에 ‘2008 자동차 혁신상’을
수여
했다.옥수수 휴대전화?현재 바이오플라스틱은 다양한 분야에서 플라스틱을 하나씩 교체하는 과정에 있다. 가정과 사무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무늬만 나무’인 각종 가구와 내장재는 바이오플라스틱으로 이뤄진 경우가 ... ...
산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2006년 ‘대한화학회 학술상’, 2007년 ‘경암학술상’에서 지난해 말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수여
하는 ‘닮고싶고 되고싶은 과학기술인’ 상까지. 만약 남 단장이 무릎팍 도사에 출연한다면 ‘건도’ 유세윤 씨는 분명 ‘당신은 욕심쟁이 우후훗!’ 할 것이다.국내외에서 명성을 얻은 남 단장은 전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다시 임상의학 과정을 공부해 졸업과 동시에 의사자격(MD)과 이학박사 학위(Ph.D.)를 함께
수여
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의사이면서 동시에 과학자인 인재를 양성해 의과학 분야의 전문인을 배출하기 위해 미국에서 시작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