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사람
관련성
비교적임
국장
상급직원
상호 관계
상호관계
d라이브러리
"
상관
"(으)로 총 1,012건 검색되었습니다.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힘을 나타내는 ‘태풍잠재위험지수(PDI)’와 해수면 온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매우 강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doi:10.1038/nature03906). 한반도 해역 온도 43년간 1.29도 상승한반도 주변 해수 온도도 심상치 않다. 국립수산과학원이 2013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 수온은 4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단맛이, 세포 내 신호전달에 필요한 나트륨에서는 짠맛이 난다며 맛과 생존의
상관
관계를 설명했다(doi:10.1016/j.physbeh.2016.05.007). 우리가 ‘맛있다’고 느끼는 쾌감은 사실 몸에서 필요한 성분을 섭취하도록 부추기는 본능인 셈이다. 기본 맛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학적인 조건을 ... ...
[Culture] 원본 증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않는 똑같은 사본이 생겨났기 때문이지요. 저는 전송된 친구가 원본이든 사본이든 아무
상관
이 없었습니다. 진짜면 어떻고 가짜면 어떻습니까? 저한테는 구별되지 않는 똑같은 친구였는데요. 다만, 제 스스로에게만은 똑같은 기준을 적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복사된 저는 제가 될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했다. 위상수학에서는 모양을 바꾸지 않고 잘랐다가 다시 붙여도
상관
이 없다. 결국 페렐만은 리치 흐름으로 기하화 추측의 8가지 문제를 모두 풀었고, 그중 첫 번째가 푸앵카레의 추측이었다. 기하화 추측의 증명은 우주의 모양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우주가 3차원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선장은 무표정했다. 뎀베는 불안해졌다. 뭔가 잘못 짚었나?“다시 말씀드리죠,
상관
없습니다.”“네?”“어차피 우린 어딘가에 식민지를 지으려고 떠난 게 아니었으니까요.”“그럼 뭐를 위해서 여기까지 오고 그 기나긴 세월을 여행한 거죠?”“설마 우리 쪽에 당신 같은 생물학자가 없으리라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고도가 낮아졌을 때 펼쳐지도록 만들어 뒀지. 너희가 퀴즈를 맞히는 것과 낙하산은 아무
상관
이 없어.”“만수르 너~! 끝까지 우릴 괴롭히는구나!”만수르와 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아옹다옹 하는 동안 멀게만 느껴졌던 땅은 코앞에 다가와 있었어요. 눈앞엔 우거진 나무들과 수풀이 보였지요.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효과가 주는 이득은 백신 접종 뒤에 드물게 발생되는 부작용(게다가 대부분이 백신과의
상관
관계가 증명되지 않은)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 백신이 자폐증과 알레르기를 유발한다?백신 접종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이 제기된 것은 1998년 영국의 소화기학자 앤드루 웨이크필드 박사가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2013년 2월 6일자에 게재된 논문(doi:10.1016/j.fertnstert.2012.12.049)에 따르면, DNA 분절과 불임은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배아가 발달하려면 DNA에서 RNA로 전사가 일어나 여러 필수 단백질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흥부자 정자가 음주가무를 즐긴 탓에 DNA가 끊어져 전사가 제대로 일어나지 못한 겁니다. 당연히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않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혈중 납 농도가 이처럼 높은 건 토식증과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토식증에 대한 아무런 가이드라인이 없다. 향후 정책을 통해 흙 섭취를 반드시 줄이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 읽을거리Susan Allport, The Journal of Critical Food Studies, Vol.2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이루는)근섬유 개수가 많기 때문”이라면서 “기관의 크기와 감각을 느끼는 능력은 아무
상관
이 없다”고 설명했다. 사람과 동물마다 잘 맡는 냄새가 있다그렇다면 왜 개가 사람에 비해 냄새를 유별나게 잘 맡는 것처럼 보일까. 맥건 교수는 “동물에 따라 잘 맡을 수 있는 냄새가 다르기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