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선천면역반응을 줄이고, 백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 발현 효율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제약회사 모더나와 화이자는 이 원리를 바탕으로 mRNA를 구성하는 네 가지 염기 중 유리딘(U)을 사용하지 않고, 메틸 슈도유리딘을 활용해 mRNA 백신을 빠르게 제작했다. 커리코 부사장은 198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다. 흥미로운 취재를 마쳐갈 즈음 신 교수는 논문 게재에 얽힌 뒷이야기를 털어놨다. 사실 이번 음모 논문이 세상에 발표되기까지는 긴 시간이 걸렸다. 1년 6개월 동안 열심히 연구를 하고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지만 ‘학술적 의미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여러 번 수정 요청을 받았다. 신 교수는 ... ...
- [똥손 수학체험실] 내 돈을 곱해줘! 오늘은 내가 투자 천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돈을 투자한다고? 용돈을 매주 1000원씩 받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 용돈을 4주 동안 하나도 사용하지 않고 저금하면 4000원, 10주 동안 모으면 10000원이에요. 일주일에 ... 재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은행이나 투자 회사가 만든 여러 가지 방법을 가리켜요.증서★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예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마을 백성들이 폭염에 고통받을 때재단사에게 속아 그 큰 돈을 갖다 바쳤다는 사실이 너무 부끄럽소.”자책하는 벌거벗은 임금의 말에, 꿀록 탐정이 손을 잡으며 말했어요.“임금님, 올해 슈퍼 엘니뇨가 온대요! 후회할 시간에 이 마을 백성들이 비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비하는 게 어떨까요? 제가 ... ...
- 무작위하다는 강력한 믿음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했다. 19세기엔 통계학자 칼 피어슨이 동전을 2만 4000번 던져 1만 2012번 뒷면이 나온다는 사실을, 20세기엔 영국 수학자 존 케리치가 동전을 1만 번 던져 5067번 앞면이 나온다는 결과를 얻었다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가 하석진 씨는 9개밖에 안 돼요. 근데 궤도 씨는 13개나 나와요. 사실 궤도가 수학적으로 봤을 때 더 유리했다고 할 수 있어요. 황정빈 외운 정보를 머릿속에서 어떻게 나열해서 정리하는가가 중요한 게임이에요. 여러 방향으로 머릿속에서 그어보며 연속한 숫자의 합을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도서관 책장보다는 시험 기간 여러분의 책상에 더 가까운 셈이다. HGP를 통해 분석된 사실 중 하나는 단백질을 만드는 인간의 유전자 수가 생각보다 적다는 점이었다. 현재 밝혀진 인간의 총 유전자 수는 약 2만 개로, 31억 개에 달하는 DNA 염기서열 중 겨우 1.5~2% 정도를 차지한다. 98%가 넘는 나머지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발견됐다는 게 신기했다”며 “이번 기회에 모기과와 는 전혀 다른 등에모기과도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다”고 말 했다. 또한, “학명에 ‘독도’가 붙은 최초의 곤충이라는 점도 뜻 깊다”고 덧붙였다. 한국은 분류학적으로 등에모기과 곤충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등에모기과 중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람들이 우르르 등장했습니다. Garden 님이 쓴 댓글처럼 우리는 “어쩌면 가설4가 사실이길 바라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필사적으로(?) 외계인에 대한 증거를 찾고, 검증하고 있으니 말이죠. 몰랑 님은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글을 쓸 때마다 “유익한 정보를 가장 먼저 전하는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일본과 캐나다의 지하실험실에서 관측됐다. 이를 통해 중성미자가 질량을 가진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IBS 지하실험 연구단도 태양중성미자를 좀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를 설치할 공동(空洞)을 예미랩에 마련했다. 또한 몰리브데넘(Mo)의 동위원소인 몰리브데넘-100으로 구성된 결정을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