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링과 스틱으로 건축물을 뚝딱? 폴리스틱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건축 당시엔 물건을 운반하기에 수위가 충분해 피라미드를 건설하는데 적합했을 것으로
본
거예요. 연구팀은 “그동안 피라미드에서 7km 떨어진 나일강의 지류가 건축물 재료를 옮기는 데 활용됐을거란 추측이 있었다”며,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은 것”이라고 했답니다. 용어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물론 ‘문제를 푼다’는 정의 자체가 불분명하긴 해요. 우리도 예전에 비슷한 문제를
본
적이 있어야 다른 문제를 풀 수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저는 미래에는 수학자가 챗GPT와 같은 AI에 큰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각해요.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알파고를 떠올려 보면,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정립하는 일생일대의 연구를 마무리하고 있었어요. 이 연구의 결론은 수학과 논리학이
본
질적으로 동일함을 시사했기 때문에 수학적으로뿐 아니라 철학적으로도 엄청난 의의를 지녔습니다. 그러나 그의 저술이 인쇄소에 넘겨지는 순간 프레게는 러셀로부터 편지를 받았습니다. 집합론이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딱 뛰어들 타이밍”이라고 권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
본
부 우주탐사그룹장과 함께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화성 테라포밍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짚어봤다. 가장 유명한 건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의 주장이다. 화성의 극지방에는 거대한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영장류 실험들은 대부분 새로운 자극만 제공하고 끝났다. 영장류들에게 그들이 생전
본
적 없는 레고 장난감을 주며 그에 대한 반응만 측정하는 식이었다. 이런 경우 단순히 새로운 물체여서 반응을 보이는지, 영장류들이 정말 호기심을 느끼는지 알 수 없다. 그래서 현재 필자는 비인간 영장류의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빈약해 위약 효과(플라시보 효과)를 막을 수도 없었다. 위약 효과를 막으려면 웅거
본
인이 실험군과 대조군을 몰라야 하는데, 그걸 알고 있었으니 실험 결과가 웅거가 바라는 대로 나타났을 지도 모른다는 뜻이다. 그렇지만 후속 연구는 웅거의 추측이 옳을 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한다. 2011년 미국 ... ...
[SF 소설] 그라비토나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네 세상은 그랬다고 말해주면 된다.”선재가 고개를 숙였다. 짜증난다고 중얼거렸지만
본
심은 그래 보이지 않았다. 다행이었다. 아직 선재가 짜증이 무엇인지 알아서.“내가 저기서 임무를 수행하고 나왔을 때 너랑 내 나이가 똑같아질지. 그럼 그땐 내가 흔쾌히 친구가 돼주마. 세상이 ... ...
영재학교 학생은 이미 쓴다! 챗GPT 수학 공부법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현실이다’. 학생들에게 챗GPT 시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
본
뒤 든 생각이다. 학생들은 생각보다 챗GPT를 예민하게 받아들이며 걱정하고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AI가 더 발전할 세상에서 살아갈 학생들에겐 챗GPT는 곧 직면할 현실이기 때문이다. 특히 학교 현장에 챗GPT가 빠르게 ... ...
영재학교 학생이 말하는 챗GPT 주의사항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서였다. 어떤 이야기가 오고갔을까. 박지훈 교사 수학 영역에서 기
본
문제인 1~10번을 챗GPT한테 물어볼게요. 그런데 그 전에 챗GPT가 이 문제를 잘 풀 수 있을지 예상해볼까요? 임예온 잘 못 풀 것 같아요. 챗GPT는 언어 모형이잖아요.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서 답을 얻기보다는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석주명은 엄밀한 통계학을 적용해 시료들을 분석했는데, 통계학적 지식을 생물분류학에
본
격적으로 적용시킨 연구는 서구 학계에서도 1930년대 후반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 면에서 그의 연구 방법은 비록 단순하기는 했지만 시대를 앞섰고, 또한 지역에 뿌리내린 연구자가 지닌 강점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