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인
군사
전사
장병
보병
해병대원
졸병
d라이브러리
"
병사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서비스로봇 빅4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형태로 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군사용 로봇의 임무는 크게 두가지. 아군
병사
의 생명을 보호하고 적을 감시하라는 명령을 수행하는 것이다. 미래전쟁은 지상전에서 가장 큰 변화를 일으켜 인공위성 등으로 원격통제하는 초소형 무인 비행체와 자살로봇이 사람을 대신하게 된다. 특히 비행기로 ... ...
잔인한 노예 획득 전쟁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관찰했다. 무엇 때문에 싸우는지는 확실치 않았으나 그들에게도 역시 전투에 투입된
병사
의 수가 중요한 것 같았다. 한 일개미가 적을 일대일로 마주하고 춤을 추듯 견제하다 기회를 보아 적의 안테나나 다리를 물어 행동을 부자유스럽게 만들고 다른 일개미들은 좌우에서 적의 목이나 허리를 물어 ... ...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대인지뢰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같은 전쟁상황과는 무관한 비인간적인 무기들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지뢰는
병사
의 발목과 놀고 있는 아이들의 발목을 구분할 줄 모를 뿐더러, 전쟁이 끝났는지 평화협정을 맺었는지도 모른다. 지뢰는 항상 ‘전쟁 중’ 인 것이다. 그리고 일단 묻히기만 하면, 제거되거나 터지면서 누구의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때나 전쟁터와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도 통증을 못느낀다. 예컨대 전쟁 중 다리를 잃은
병사
는 병원에 후송되서야 다리가 아프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는 생명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정신적 긴장감이 잘린 다리의 통증을 억누른 경우다. 이를 통해 통증에는 말초적인 메커니즘과 함께 중추적인 ... ...
냉동인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그리고 57년간 동면에 들어간다. '유니버설 솔저'(Universal soldiers)에서는 월남전에서 죽은
병사
를 다시 살려내 초특급 전사로 개조시키는 데 냉동기술이 사용된다. 암환자를 미래로이렇게 영화 속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는 인간 냉동 기술. 과연 그것은 가능한 걸까. 지금은 어느 정도까지 ... ...
2 '과학자 우대' 옛말, 행정눈치보는 샐러리맨 전락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바로 이들이다. 그러나 연구원들은 '전쟁을 수행할 총과 실탄도 주지 않고 내몰린
병사
꼴'이라고 자탄한다.우리나라 전체로 보아 연구 개발에 투자한 금액은 92년의 경우 총 4조9천8백90억원(63억 달러)이다. 이같은 금액은 미국의 GM사(59억 달러)나 IBM(51억 달러)등 단일 회사의 투자액과 크게 차이가 ... ...
[2] 미지의 생체 네트워크-질병치료에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세포의 기도 자체적인 변화, 흑은 외부의 자극으로 유발된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생로
병사
란 복잡다단한 인간의 일생이 전부 이 4가지의 개념으로 귀납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옛부터 인체의 기의 기본적인 변화를 6가지로 대별하여 구분했고 천태만상의 기의 변화는 모두 이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정복하는 대상이 아니라 그속에서 조화롭게 살아가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다. 불교는 생로
병사
의 고통을 넘어 깨달음에 이르는 실천의 노력을 중시한다.기공(氣功)은 바로 이를 위한 수행법이며 불교의 수행 또한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한 훈련이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기의 작용은 바라보고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특이한 것으로 악명이 높다. 서너살짜리 코흘리개까지 무자비하게 살해한 아르헨티나
병사
들이 임산부를 체포하면 아이를 분만할 시기까지 살려두었다가 반드시 머리를 총으로 쏘아 죽이고 갓 태어난 아이는 자식이 없는 군인에게 입양했기 때문이다. 백인의 들소 사냥종족근절은 무력이 강한 ... ...
인공단백질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생명을 생명이게 하고 그 생로
병사
에 깊숙이 관여하는 단백질. 그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데서 한발짝 더 나아가 인공적으로 이를 합성하고 설계해낸 것이 인공단백질이다. 이 인공단백질을 만드는 단백질공학은 인공효소 개발 등과 더불어 21세기 생명과학의 핵심산업으로 주목을 모으고 있다.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