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onitor
모니타
moniter
감독
감시
화면
감시 장치
d라이브러리
"
모니터
"(으)로 총 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명령을 받고 내보내는 입출력장치가 있어야 해. 컴퓨터가 마우스 같은 입력 장치와
모니터
같은 출력 장치로 다양한 일을 하는 것과 같은 원리야. 마지막으로 튼튼하고 가벼운 합금과 같은 재료가 있어야 한단다. 이들이 제대로 갖춰져야 비로소 만화·영화 속 로봇에 도전할 수 있어.실현된다면? ... ...
Part2. 크루즈,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감시하고 있죠. 특히 화재 위험이 높은 세탁소, 주방, 엔진실은 특별 관리합니다.”
모니터
를 보자 이상이 발견된 항목 목록이 떴다. 방금 경고음이 울린 4층 데크의 화재경보기도 있었다. 옆에는 바로 ‘복구됐음’을 의미하는 ‘RET(RETURNED)’라는 표시가 붙었다. 종합통제실은 엔진과 전기, 물 공급 ... ...
디지털 시대의 눈 건강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보는 게 좋아. 밝기도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지 않게 적당한 밝기로 해야 해. 그리고
모니터
나 TV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위치에 두고 봐야 눈이 덜 힘들어 한다고겨울에 바깥에서 활동해야 하는 이유가 또 생겼어. 하얀 눈을 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우리 눈 때문에라도 바깥 활동은 필수인 셈이야.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있기를 기대한다.정현철 매니저는 “인공지능의 수준이 높아지면 서비스 로봇에서도 LCD
모니터
가 사라질 것”이라며 “다양한 센서에 주위 상황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 더해지면 훨씬 진일보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화제가 됐던 아이폰의 음성인식 ‘시리’에도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보통 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7~10인치(18~25㎝)로 스마트폰보다는 커. 하지만 LCD
모니터
보다는 작지. 한 번 충전해서 10시간 동안 쓸 수 있고, 무게는 300~700g 정도야. 터치를 넘어선 ‘음성인식ʼ신기한 터치 기술도 조만간 자리를 내줘야 할지 몰라.음성인식 기술 때문에 말이야. 움직이거나 무언가를 ... ...
남 험담하면 기분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형태의 실험이다. 게임 플레이어 중 누군가는 상대방을 속인다. 관찰자들은 심장 박동
모니터
를 몸에 부착한 채 속이는 행위를 지켜보며 정당하게 게임 하는 플레이어에게 상대방의 부정행위를 알려주도록 했다. 연구진은 집단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이 남을 속이는 행위를 한 사람들을 험담하는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엉뚱했다. “PC방에서 컴퓨터를 하면 집에서 할 때보다 눈이 덜 피곤하거든요. 그런데
모니터
앞 조명이 거의 파란색이었어요. 빛의 색과 눈 건강사이에 뭔가 관계가 있을 것 같았어요.” 친구들과 의논 끝에 심리와 빛의 색의 관계를 알아보기로 했다. 상현 학생은 “조도계를 잡고 한 자세로 오래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떠들썩하게 하고 있는 3차원 프린터로 말이다.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프린터란
모니터
에 나타난 글자와 그림을 종이에 그리는 기계였다. 글이나 사진 파일을 펴놓고 ‘인쇄’ 버튼을 누르면 종이에 똑같이 그려내듯이, 3차원 프린터는 특정 소프트웨어로 그린 3차원 설계도를 보고 입체적인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영상을 보고 있다고 인식했다. 심지어 연구팀은 고양이가 보고 있는 영상을 읽어 컴퓨터
모니터
에 나타내기도 했다. 이 기술이 가능한 이유는 망막에 분포한 시신경들이 각각 대뇌의 시각피질에 있는 서로 다른 신경세포들과 연결됐기 때문이다. 생각을 영상으로 녹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 ...
하늘에서 만드는 대동여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비행선의 위치를 조종하고, 적당한 높이와 위치에 비행선이 오르면 카메라와 연결된
모니터
를 보며 사진을 찍는답니다. 보통 높이 20m~1㎞ 정도가 딱 적당해요.비행선이 그렇게 작으면 바람에도 쉽게 날아가 버릴텐데…. 그래도 하늘에서 유적지를 찍는다는 생각이 참 기발해요. 어떻게 이런 생각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