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확
명석
명백
d라이브러리
"
명쾌
"(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받고있는 임산부의 경우도 마찬가지.변비가 있으면 장내 노폐물이 쌓여 정신이
명쾌
할 수 없다. 또 소장의 기능장애를 일으켜 소화불량이나 위산식도염 등을 부르기도 한다. 몸밖으로 빠져나가야 할 노폐물이 신체내로 들어오면 피부가 손상되기 쉽다. 그래서 '변비는 미용의 적', '미인이 되려면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이 해양 유기물들이 어떻게 바이칼호까지 이동해 갔을까. 아직 아무도 이 질문에 대해
명쾌
하게 대답해주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그럴 듯한 한가지 이론이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즉 수백만년 전에는 시베리아가 침수지역이었기 때문에 바다생물이 북극해에서 이동해올 수 있었다는 것.바이칼호의 ... ...
PARTⅡ 태양계탐사의 선두주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全)중량과 발사후 연료를 다 소모한 뒤의 최종중량 및 분사가스의 속도 등 세개의 변수로
명쾌
하게 표현해 놓았다. 그의 공식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로켓 비행공학의 근본원리로 사용되고 있다.그는 또 다단식(多段式)로켓도 구상해냈고, 액체수소와 액체산소의 혼합체 또는 케로신과 액체산소 ... ...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이길까 하고 무척 궁금해 한다. 필자도 이러한 질문을 자주 받곤 한다. 하지만 그 때마다
명쾌
한 답변을 할 수 없어 당황할 때가 많다. 한마디로 간단히 답변하기엔 곤란한 질문이기 때문이다.사실 이에 관한 논란이 학자들간에도 쟁점이 된 적이 있었다.인도 봄베이의 자연학회가 발행한 1960년도판 ... ...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않는다.그러나 1964년 소립자의 어떤 반응에서 이런 '시간반전의 보편'이 깨진다는 것이
명쾌
하게 밝혀졌다. 사하로프는 '바리온 수의 보존'이 깨지고 '시간반전의 보편성'도 깨지며 더욱이 우주가 팽창하여 반응이 저하한다는 세 가지 조건이 갖추어지면 지금처럼 바리온 수가 늘어나고 따라서 우리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굴립과학수사연구소장은 불검결과를 발표하면서 "과학은 '있다' '없다' '모른다' '안다'의
명쾌
한 세계"라며 세간의 의혹을 일축하려 했고, 전화도청장치개발 여부로 국정감사에 불려나온 경상현 전자통신연구소장은 "과학기술은 물론 세상만사가 모두 양면성을 갖는다"며 얼버무리기도 했다.또 ... ...
국민을 놀라게 한 블랙박스 도청, 얼마나 밝혀졌나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제출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의원이나 보좌관들이 과학기술의 전문가도 아니어서
명쾌
한 확증을 끌어내지는 못했다.다만 "비음성통신용 전송품질 측정시스템이 안기부와 관계있는 프로젝트이며, 도청용은 아니지만 특수한 어댑터(adapter)를 붙이면 간단히 도청장치로 전용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많은 질문을 했던 나에게 항상 친절히 성의껏 설명해 주시던 선생님, 자연현상에 대한
명쾌
한 해석을 들으면서 나는 자연에 대한 경이와 함께 겁없이 과학에 대한 자신감도 가졌었다. 방과후 몇몇 친구들과 과학실에서 과학반 활동을 하면서 발명왕인 에디슨에서부터 잘 이해도 못하던 물리학자 ... ...
발암물질「알라」가 일으킨 파문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아직 도처에 깔려 있는데 왜 최종판결이 늦어지는 것일까? 이에 대해 많은 학자들은
명쾌
하게 한쪽 손을 들어줄 용기있는 ‘식품법원’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국립보건원을 비롯한 식품위생 관련 연구기관들은 좀처럼 ‘골치아픈’일에 끼어들려 하지 않는다. 알라사건 이후 이같은 경향은 ... ...
사인규명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제자리찾기」 노력이 일어나고 있지만··· 최근 잇달은 의문사의 사인(死因)을
명쾌
하게 규명해 내지 못함으로써 법의학의 신뢰성에 대한 강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조선대생 이철규군의 사체부검을 실시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장기에서 다량의 랑크톤이 검출됐으므로 사인을 '단순익사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