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위기에 처한 소인국?!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등을 던져본 결과,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표면을 1000번 넘게 사포로 닦은 뒤 액체를 던져도 아무것도 달라붙지 않았어요. 연구팀은 변기 모형이 네펜데스처럼 윤활제를 많이 흡수해 미끄러운 표면이 되었고, 실리콘 오일이 표면 아래로도 깊게 스며들어 쉽게 마모되지 않는 것을 ... ...
- ‘신의 한 수’는 어디에? 바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기사들의 경기를 보며 공부했다면, 2016년 구글이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를 개발한 뒤로는 인공지능으로 바둑 경기를 분석해 공부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고 설명했지요. 김경은 프로는 “바둑을 두다 보면 상대 선수의 성격이 드러나고, 그걸 이용해 상대를 속이기도 한다”며 “한 경기 ... ...
- [가상 인터뷰] 고양이, 자꾸만 참치가 끌렸던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발견한 거야. 또, 사람은 감칠맛을 접하면 미각 수용체가 특정 아미노산과 먼저 결합한 뒤, 반응을 증폭시켜. 반면 고양이는 맛을 느끼는 작동 순서가 사람과 반대라는 사실도 발견했지. Q, 어떤 감칠맛을 좋아하는지도 확인했다고?연구팀은 고양이가 가장 좋아하는 감칠맛을 확인하기 위해 고양이 2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 알차게 즐기는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촬영하여 여행 경험을 소셜 미디어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난 뒤 여행 추억을 되새겨 볼 수 있어요. 내가 촬영한 사진과 영상에는 촬영 시각과 위치가 자동으로 저장되고, 사용자가 메모도 추가할 수 있어서 여행에서 느낀 감정과 생각을 바로 기록할 수 있지요. 이렇게 기기들을 ... ...
- 게임 하면 한국이지! e스포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수 있도록 각종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지도해 부상을 예방합니다. e스포츠는 3년 뒤인 제20회 2026 아이치-나고야 아시안 게임에서도 정식 종목으로 진행될 예정이에요. 라이엇게임즈는 “지난 3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가상현실(VR) 등을 활용한 올림픽 e스포츠 시리즈 대회를 열기도 ... ...
- [만화뉴스] 스파이AI등장? 키보드 소리로 내용까지 맞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노트북에서 문자, 숫자를 포함한 36개의 키보드 누르는 소리를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뒤, AI에 학습시켰어요. AI는 녹음된 통화 내용을 분석했을 때 95%, 화상전화 앱인 줌(Zoom) 통화를 녹음한 경우 93%에 달하는 정확도를 보였지요. 영국 더럼대학교 조슈아 해리슨 연구원은 “키보드의 가장자리에서 특정 ... ...
- AI가 마비환자 생각읽고, 아바타로 대신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앤에게 1024개의 단어가 들어 있는 다양한 문장을 반복해서 보여주고 말하도록 한 뒤, AI가 뇌파를 감지하고 해석하도록 반복 훈련했습니다. 한편 연구팀은 사고 전 녹음된 앤의 목소리 파일을 이용해 앤의 목소리로 말하는 아바타를 준비했습니다. 앤의 뇌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반영해 아바타의 ... ...
- 찬드라얀 3호, 무엇을 찾았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남극에서 물을 찾고 달의 표면 토양을 분석했지요. 프라그얀은 달에 착지한 후 약 4시간 뒤에 처음으로 달 표면에 내디뎠어요. 이후 자신을 싣고 온 비크람을 촬영하기도 하고 주변을 돌아다니며 임무를 수행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프라그얀은 착륙 지점 3m 앞에 있던 4m 크기의 분화구를 피해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Round2. 많이 울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9호
- 공감하고 잘 도와준 덕분에 친구들을 많이 만들 수 있었지요. 비커에 눈물과 콧물을 받은 뒤, 눈금을 보고 액체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길 바라요.” 할머니의 말씀으로 경기가 시작됐어요. 밀리네 가족은 슬픈 영화를 보며 눈물과 콧물을 각자 병에 담았어요. “훌쩍훌쩍.” 영화가 시작되자 밀리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희토류/ 실리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아레니우스는 광석의 정체를 밝혀내기 위해 여러 과학자에게 광석을 보여줬어요. 2년 뒤 핀란드의 광물학자 요한 가돌린은 광석으로부터 새로운 산화물을 분리하는 데 성공합니다. 산화물의 이름은 ‘이트륨’, 첫 희토류를 발견하는 순간이었죠. 희토류는 자연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