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신
기형자
불구자
폐인
불구아
기인
d라이브러리
"
기형아
"(으)로 총 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위기에 몰린 남성의 생식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사춘기가 되면 성기의 발육이 촉진되고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성욕을 느끼게 마련이다. 고환이나 난소와 같은 성선(性腺)에서 성호르몬이 혈액 속으로 왕성하게 분비되기 때문이다.태아와 성호르몬남성호르몬은 통틀어 안드로겐이라 부르는데, 대부분이 고환에서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론이다. 사춘 ... ...
'생명공학재난' 경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지난 10월 1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이사회는 우리나라를 29번째 가입국으로 승인했다. 우리나라 경제가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경쟁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공식적인 신호탄이었다. 그런데 하루 전 동아일보는 1면 기사에서 미국의 소비자 단체들이 유전적으로 변형된 ‘첨단 식품’에 대 ... ...
2. 모자형 재킷형 손목시계형 PC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놀랄 만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반도체 기술과 완전한 휴대성을 보장하는 전지기술은 '인간을 위한 컴퓨터' 의 등장을 이끌 것이다. 또한 인간의 뇌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인지과학의 응용과 신경컴퓨터의 등장은 지금과 사뭇 다른 컴퓨터 환경을 완성시킬 것이다.어깨에 걸치는 ‘재킷형 PC’, 머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타이태닉호 침몰 84년만에 선체 일부를 인양했으나 체인이 끊어지는 바람에 실패. 은하나 성단(星團)을 입자로서의 항성(恒星)의 집합체로 간주하여 항성운동을 분자운동론적(分子運動論的) 입장에서 통계적으로 기술하는 속도기준 우리 은하가 소속하는 초은하계 국부초은하계의 지름은 약 2억 ... ...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대인지뢰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노출된 사람들은 평생동안 알 수 없는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다. 또 그들의 2세는
기형아
로 태어나는 등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원자폭탄의 위용’ 은 우리 주위를 떠나지 않고 있다.방사선 노출 같은 후유증이 없고, 한방에 많은 사람을 희생시키지 않아서 그럴까? 2차세계대전 이전부터 사용됐고,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마음의 창'. '마음의 등불'로 불리는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이라는 속담만큼이나 우리 신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1. 왜 눈동자의 색깔이 틀릴까 서양인이 선글라스를 많이 쓰는 이유 왜 서양인은 파란 눈동자를 가지고 있을까?얼굴색이 틀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눈속,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방어 메커니즘' 으로 설명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선천적으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기형아
들이 외부의 해로운 자극을 제대로 피하지 못해 온 몸에 치명적인 상처가 나는 것을 보면 통증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시각이나 청각은 빛이나 소리 같은 자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나 ... ...
과학을 선도하는 SF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우디알렌이 1973년에 만든 영화 '잠자는 사람'(Sleeper)에는 대통령의 코를 뜯어내서 또 한 사람의 대통령을 복제한다는 풍부한 상상력이 담겨있다. 우디알렌이 농담처럼 삽입한 이 장면을 보고 사람들은 폭소를 터뜨렸다. 그런데 그후 분자생물학과 유전공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고, 1990년에는 ' ... ...
수천년 이어온 동양의 전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금방 간이 손상돼 치료불가능하게 된다고 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임산부가 한약을 먹으면
기형아
를 낳는다고 까지 한다. 그러나 위험 약물이 될 소지가 있는 약초에 대해서는 의사가 환자의 체질에 알맞게 조제 처방해 안심하고 쓸 수 있도록 하고 있다.현재 한의사들은 환자를 명확하게 진찰하고 ... ...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목소리부터 태아 심음까지 '소리'는 사람을 진단하는 중요한 매개체다. 몸 속 소리를 탐험하면서 건강을 판단해보자.목소리로 당신의 건강을 판단할 수 있을까. 아나운서는 목소리를 관리하기 위해 소리를 컴퓨터에 저장한다. 산모 뱃속에 전극을 장치해 태아의 심장 상태를 확인하기도 한다. 21세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