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초"(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화에서 어과동 마을의 무대와 케이크, 인사말 등 기초 건축물을 완성했어요. 이번에는 캐릭터 만들기 등 어과동 친구들이 마을에서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지 설명해주는 도우미 NPC를 만든 과정을 소개할게요. 또, 커맨드블록을 만들었던 과정도 소개해요! NPC를 만들어라!NPC(non-player character)는 게임 ... ...
- 마법 같은 효과에 숨은 부작용, 식욕억제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비만대사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김 교수는 “식이 조절을 시작한 지 1개월 정도가 되면 기초대사량이 떨어져 적게 먹어도 체중이 줄어들지 않는 대사적응 단계에 진입하는데, 이때 많은 환자들이 자신이 무언가 잘못하고 있는 게 아닌가 의심한다”며 “식사량이 줄어들면서 우울감이나 음식에 대한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단독 수상이었다.폴링 교수는 역대급 흑역사를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화학 결합을 기초로 단백질의 분자 구조를 밝힌 것으로 유명하다. 단백질의 기본 구조인 나선형(알파 헬릭스), 판형(베타 시트) 등이 이때 알려졌다. 이후 폴링 교수는 DNA 구조를 규명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단백질 구조를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주제를 떠나 보내기 전에 마지막으로 장례식 추도사를 듣는 느낌으로 연구에 대한 가장 기초적이고 뻔한 설명을 다같이 듣고 싶어했던 것 같다.“그런데 거기에 대해 우리 연구소는 나름대로 해답을 구했죠. R426 신호를 발견하기 전에, 우주에서 들어온 통신 잡음으로 파악되는 신호 몇 개를 우리 ... ...
- [옥스포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 24화. 운명처럼 만난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저는 어렸을 때 제 또래 친구들보다 수학을 잘하는 편이었어요. 수학과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도 좋아했는데, 특히 수학자 이야기, 그 중에서도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와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를 가장 좋아했지요. 제 첫 영어 이름이 ‘칼(Karl)’인데, 가우스 이름에서 본 ... ...
- [수학뉴스] 천재 시인 이상의 수학 시, 90년 만에 해석했다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쉽지 않았는데요, 작품이 탄생한 지 90년 뒤에야 그 의미가 밝혀졌습니다. 이수정 GIST 기초교육학부 교수와 오상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머세드 캠퍼스 물리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상의 시에 등장하는 ‘육면각’, ‘무한육면각체’ 등과 같은 용어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이 용어들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어갈 수 있어요. 저는 100번을 다시 선택하라고 해도 수학과를 갈 것 같아요. 수학으로 기초를 탄탄하게 하면 뭐든 응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제게 있는데, 그 덕을 크게 보고 있어요. Q4. 수학 전공자로서의 장단점을 이야기해주세요. 윤석 수학과는 대학에서 배운 지식만으로 공부한 ... ...
- [에디터노트] 인류를 위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물리적 자극을 감지하는 촉각 수용체 유전자를 찾은 두 연구자에게 돌아갔습니다. 기초연구 분야지만, 이들 유전자에 문제가 생길 경우 감각 장애나 보행 장애, 통증 증후군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의학에서도 중요합니다. 또 통증과 직접 연관된 유전자다 보니 새로운 진통제를 개발하는 데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기후변화 분석한 물리학자들 노벨 물리학상 수상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이 모형은 현재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기후 모형 개발에 기초가 됐지요. 무질서한 물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숨겨진 패턴을 찾은 파리시 교수 역시 연구에 수학 모형을 활용했습니다. 파리시 교수는 통계 물리학자로 수학과 인연이 깊습니다. 이처럼 노벨상에는 수학 ... ...
-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의 망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하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0으로는 그 어떤 수식도 나눌 수 없다는 것은 당시에도 아주 기초적인 상식이었다. 그리고 이 내용을 담은 논문을 1922년 발표했다.프리드만은 아인슈타인 논문의 모순을 지적하며, 우주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대로 팽창하리라 주장했다. 우주 공간이 정적이라는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