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접
접근
접촉
가까움
이웃
근교
근처
d라이브러리
"
근접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계산해낸 춘분점의 이동량은 46″(1″=60분의 1′)로 오늘날의 정확한 값인 50.26″에 거의
근접
한 값이다.히파르쿠스는 일식 관측 기록을 토대로 달이 지구에서부터 지구 반지름의 59~67배만큼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거리는 현재 측정값(지구 반지름의 60배)과 비교하면 매우 정확한 값이다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2. 거대로봇 공격 무기는 어떤 것이 좋을까? 미사일과 달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는?3.
근접
전에 사용할 무기는 어떤 형태가 좋을까? 전투로봇에 사용하는 강력한 톱날은?4. 비행능력을 추가하자. 날개는 어떤 형태가 좋을까?5. 조종은 어디서 해야 할까? 직접 할까? 리모컨으로 할까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마주보고 있다 거문고별자리의 직녀성에서 은하수쪽으로 비스듬하게 걸쳐 있는 특이한
근접
식연성(近接蝕連星) 주기 12일 22시간 22분으로 광도가 변하는 식연성이며 1784년 영국의 굿리크(Goodricke) 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졌다 결정의 반면상 및 4반면상의 일종으로 좌우대칭상을 이루는 것 좌우상,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규명한 것이다. 그의 이론은 영국의 천문학자 존 레일리로 이어져 망원경으로 얼마나
근접
한 이중성을 분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 됐다. 독수리 눈의 소유자 도즈1799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윌리엄 도즈(William Rutter Dawes)는 홀아버지 밑에서 자라났다. 그의 아버지는 수학교사였는데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커다란 꿈을 가지고 있어요. 그꿈은 ‘만약 매일 같이 태양활동과 지구
근접
우주 환경을 지켜보고, 뉴스에서 날씨를 예보하듯이 우주 날씨를 예보하는 곳이 있다면 어떨까?’ 하는 멋진 꿈이지요. 그런 곳이 있다면 우리는 우주 날씨의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재난에 미리 대비할 수 있을 ... ...
스티븐 호킹이 행복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두 개만 쓸 수 있다. 하지만 그는 이런 신체장애를 딛고 우주 생성의 비밀에 가장
근접
한 이론을 내놓았을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두 차례나 강연할 정도로 활동이 활발하다. 이는 전동휠체어에 달린 음성 합성기를 비롯한 첨단 컴퓨터 입출력장치 덕분이다.바코드 읽고 길 안내도 척척실제로 ...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작은 힘의 하나 두 중성 분자가 비교적 떨어져 있을 때도 서로 인력이 작용한다두 분자가
근접
할 때 각 분자의 전자가 전기적인 반발을 하므로 서로 피하며 운동한다그러므로 어느 순간은 한 분자의 +전하를 띤 부분과 다른 분자의 -전하를 띤 부분이 마주쳐서 약한 전기적인 인력이 생긴다기체가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이 직선을 무한원직선이라고 한다가을철 남쪽 하늘에서 페가수스자리의 사변형에
근접
해 있는 별자리 명확한 항원과의 접촉이 없이 냉한·온열·광선·운동 등 기압의 변화나 전선의 통과 등도 포함하는 기계적·물리적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알레르기의 총칭 물리알레르기라고도 한다발생기서는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정확히 2배가 되는 공명 궤도에 들어간다. 토성이 한 번 공전할 때마다 두 번 목성에
근접
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목성의 강한 중력으로 인해 토성 궤도가 점차 심한 타원으로 변형된다. 토성의 궤도 변화는 차례로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 역시 극단적인 타원 형태로 바뀌게 한다. 이같은 타원궤도를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발을 맞추게 됐다. 5년 이상 과학전문기자를 양성했고 한국 과학자의 수준이 세계와
근접
할 정도로 올라간 것도 이런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과학동아는 한국 과학저널리즘을 주도했다.생명과학과 나노과학이 21세기 최고의 과학으로 떠올랐다. 생명과학은 새로운 이슈를 계속 쏟아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