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부르기도 합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한국의 퍼스트 독은 유독 흰 털을 가진 한국 고유 품종이 많았습니다.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은 흰 진돗개 한 마리를, 전두환 전 대통령은 백구 두 마리를 키웠고,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은 북한에서 태어 난 크림 색깔 풍산개 두 마리를 키웠습니다. 박근혜 전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처럼 인공지능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2016년과 2017년에는 무려 4000년 동안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 여겼던 바둑에서 인공지능이 프로기사를 상대로 이기는 장면을 전 세계가 목격했습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가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인간을 뛰어넘을 거라고 예측한 것보다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막으로 가려진 것이 바로 이런 용도의 자기광포획(MOT) 장비였다. 포획한 이터븀 원자에 고유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레이저를 쏘아주면 공진 신호(복사선)가 발생한다. 이 신호의 횟수가 518조 2958억3659만864번이 되는 시간을 1초로 정의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안쪽 방에 있는 것이 고안정화 ... ...
-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시시각각 변하는 유행만큼 세상도 빠르게 변한다. 인공지능이 약 4000년 동안 인간의 고유 영역이었던 바둑을 따라잡은 지금, 몇몇 사람들은 미래에 인공지능이 세상을 지배하거나 사회가 붕괴할 거라고 예측한다. 알 수 없지만 알고 싶은 미래. 카를 가우스가 수학을 이용해 소행성의 위치를 예측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이처럼 ‘고유(固有)’는 ‘본래부터 가지고 있어서 특별한 것’을 나타내는 말이지요. 고유의 첫 글자인 ‘굳을 고(固)’는 ‘오래된 것’을 의미하는 ‘옛 고(古)’를 성벽(囗)이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에요. ‘오래된 것을 단단하게 지킨다’는 의미에서 ‘단단하게 굳다’라는 뜻이 됐지요. 또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한편, 불꽃에 색을 입히는 건 다름 아닌 ‘금속’이에요. 금속 원소는 불을 만나면 고유한 색을 내는 성질이 있거든요. 이를 ‘불꽃 반응’이라고 하지요. 불꽃 반응은 혼합물에 어떤 금속 원소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답니다. 불꽃놀이에서는 흑색 화약에 금속 원소를 넣어서 불꽃색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민물고기 탐사! 1시간 동안 무려 26종의 민물고기를 220마리 넘게 채집했어요. 이 가운데는 고유종인 참종개, 새코미꾸리, 줄납자루 등이 포함돼 있었어요. 몸이 투명한 줄새우와 초록색을 띤 새뱅이 등 민물에서 사는 새우들도 볼 수 있었답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다양한 종들이 잡힌 걸까요?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토양과 물이 공존하고, 토양 속까지 물을 머금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런 환경에 적응한 고유한 생태계가 있는 곳을 말해요. 논이나 호수, 늪 등이 모두 습지랍니다. 국립생태원에는 에코리움 앞에 인공 습지가 잘 조성돼 있어요. 대원들은 뜰채로 습지 물을 떠올려 대야에 담아 봤어요. 그 안에는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날아다닐 때 ‘앵’ 소리를 내는데, 종에 따라 자신만의 고유한 파장을 갖고 있어요. 이 고유한 파장을 이용해 배우자를 찾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이 파장을 분석하면 어떤 모기인지 구분할 수 있어요.한편,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도 ‘글로브 옵서버(Globe Observer)’ 앱을 통해 모기 서식지 지도를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나타내면 커다란 군집(클러스터)을 이룬다. 사람마다 고유한 특징값을 갖는 만큼 누구나 고유한 클러스터를 갖는다. 윤 책임연구원은 “이미 저장된 클러스터와 인식하고자 하는 클러스터를 비교하면 동일한 인물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다”며 “이를 활용한 예가 공항에 있는 출입국 관리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