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
협조
단합
단결
원조
공동 작용
제휴
d라이브러리
"
협동
"(으)로 총 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08
응용하는 동해순환연구와 함께 최초의 실시간 해양관측부이를 오트로닉스와의 산학
협동
으로 가동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차세대기후감시연구의 일환으로 지구 기후의 중요 열쇠를 쥔 탄소순환계를 미니대양 동해를 조사하는 연구가 부산대(이동섭 교수)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아울러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208
단일 단백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수개에서 수백개의 단백질들이 서로
협동
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관여해 결정하는데, 이때 관여하는 단백질 풀들의 각 성분의 양은 정교하게 조절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특정 단백질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합성되거나 전혀 합성되지 않는다면 결과는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07
개별적으로 상대를 속이는 것은 흔하지만 가뢰 애벌레처럼 여러 개체가 같은 목적으로
협동
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경우로 보고 있다. 거짓 사랑으로 목숨 노리는 팜므 파탈영화에서는 자신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남자를 유혹한 뒤 파멸시키는 악녀들이 종종 등장한다. ‘팜므 파탈’(Femme ... ...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
과학동아
l
200205
다할 수 있다”면서 자부심을 나타냈다.기술의 산업화까지 이뤄내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
협동
이 반드시 필요한 법. 각기 다른 분야에서 연구하는 사람들과의 정보교환과 친화를 위해 전기연구원에서는 어떤 ‘비법’을 쓰고 있는지 물었다.“57개 기관이 한 덩어리로 움직인다는 것, 그 단합이라는 ... ...
2.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삼은 선진국
과학동아
l
200204
인구 5백만명을 약간 넘는 조그마한 나라다. 최근 국제경영개발원(IMD)은 핀란드의 산학
협동
을 세계 1위로 평가했으며,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교시스템의 경제계 요구 수용에 있어서도 세계 1위, 국가 경쟁력은 미국과 싱가포르에 이어 세계 3위라고 평가하고 있다.사실 핀란드는 우리가 IMF때 ... ...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 심장 개발
과학동아
l
200204
산학
협동
연구를 통해 수행중이다. 이를 통해 실제로 응용가능한 연구를 진행하고 산학
협동
을 공고히 하고 있다. 외부 관련 기관과 엔진콘소시엄을 구성해 정보교환과 연구효율을 높이고 있다.뿐만 아니라 다수의 외국대학이나 연구소와 결연을 맺어 공동연구를 수행하거나 연구인력을 교환,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02
큰 도움을 준다. 또한 요즘 과학기술 논문은 대부분 공저이기 때문에 글쓰기가 하나의
협동
과정이다. 특히 요즘에는 자료들이 e메일을 타고 빠르게 돌아다니기 때문에 글쓰기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리포트가 성적 평가 50% 차지MIT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교양과목인 스티븐 핑커 교수의 심리학은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01
소화하고 이를 산업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는 혼자만의 일이 아니다. 함께
협동
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누군가는 리더십을 갖고 연구그룹을 이끌어나가야 한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서 리더십은 주로 남성이 그들만의 사회에서 배운다. 따라서 여성은 남성보다 리더십을 기를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01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 정유회사들은 중국과 캐나다, 아르헨티나와 제휴해 대규모
협동
농장을 조성해 1백년 간 운영할 사업계획을 내놓았다.우리나라는 산업소재와 의약소재를 생산하는 형질전환 식물을 꾸준히 개발했다. 식물은 식량뿐만 아니라 특정 의약품과 산업소재를 만들어내는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12
법률로 금지해야 한다.인간복제 연구는 다수의 발생학분야 연구자와 불임전문 의사의
협동
체계가 필요하며 많은 대리난자의 반복적인 시술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산모관리와 태아상태의 점검을 위해 산부인과 의사의 개입이 필요하다. 즉 인간복제 연구는 개인에 의한 음성적인 단독 연구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