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d라이브러리
"
독자
"(으)로 총 1,990건 검색되었습니다.
출간 150주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
수학동아
l
201511
중심으로 펼쳐지는 기묘한 이야기. 그 속에 말장난과 수수께끼가 뒤섞여있어 전세계
독자
들에게 꾸준히 사랑받는 고전이 있다. 바로 다. 벌써 올해로 출간 150년을 맞았다. 의 150번째 생일을 맞아 그 안에 숨어있는 수수께끼를 다시 만나 보자.이상한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
수학동아
l
201511
많은
독자
들이 드론 천국에 온 듯 이곳을 떠나지 않았어요. 수료증을 받은 김하은
독자
는 “드론을 오늘 처음 만져 봐서 어색했지만 2시간이 정말 빨리 지나갔어요”라며 다음에 이곳에 또 오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습니다. 다재다능한 장비이면서 동시에 재미난 놀이기구인 드론으로 또 무엇을 할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1
“으악! 세상이 흔들린다! 빨리 밖으로 나가!”큰 건물을 무너뜨릴 정도로 강한 지진이 네팔을 뒤흔들었어요.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 듯이 건물이 강하게 흔들렸지 ... 피해가 무사히 수습되고 사람들이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독자
들도 응원해 주세요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
과학동아
l
201511
시간인 오후 4시 50분 27초에 정확하게 일어나 6시 55분 53초에 끝났다. 이로써 조선은
독자
적으로 일식을 예측할 수 있는 나라가 됐다.세계의 밤하늘을 담다김담은 칠정산외편에 밤하늘에 보이는 별 목록도 정리했다. 이 목록표에는 14세기 명나라에서 만든 명역천문서(名譯天文書)에 기록된 30개의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201511
있다.‘동광’의 필자나 에딩턴이나 아인슈타인은 왜 그렇게 열심히 상대성이론을
독자
들에게 알려주려 했을까? 특히 아인슈타인 자신조차 난해함을 토로했던 일반상대성이론을 제대로 알아야 할 이유는 뭘까? 이런 질문과 관련해 1922년 11월에 동아일보에 실린 기사가 의미심장하다. 4회에 걸쳐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1
좀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경쟁력을 키워나갔으면 좋겠어요.Q 마지막으로
독자
들에게 한 말씀해 주세요!꿈을 가지세요. 그리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푹 빠져서 즐기세요. 즐기며 배우다 보면 상상력을 키울 수 있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도 나올 수 있답니다. 제가 지난 해 ... ...
[수학뉴스]수학 성적을 올려주는 앱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11
성적을 걱정하는
독자
에게 기쁜 소식이 있습니다. 아이들이 부모와 함께 수학 앱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수학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탈리아 버크위츠 미국 시카고대 교수팀은 시카고 지역 초등학교 1학년인 자녀를 둔 587가족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교수팀은 임의로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
수학동아
l
201510
“고난이도일수록 마트의 손님이 더 많게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어떤 게임을 만들어 보고 싶나요? 다음 게임카페 이야기도 기대해 주세요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10
바라본 곤충세상과 우리나라의 곤충세상은 서로 다르다. 파브르 곤충기에 매료된
독자
들은 파브르가 관찰한 곤충이 우리나라에도 살고 있을 거라고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파브르가 흥미롭게 관찰한 곤충 중에는 우리나라에 살지 않는 곤충들이 매우 많다. 파브르가 주목한 곤충과 현재 우리나라에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10
년 9월 2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불쌍한 노인(연민)과 잘나가는 전문직(부러움), 마약중
독자
(혐오), 학생(뿌듯함) 등의 사진을 보여주고 그들이 겪는 상황을 묘사했을 때 실험 참가자들이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물어봤다. 그와 동시에 근전도 측정기를 볼에 부착해 참가자가 미세하게라도 미소를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