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제프 베이조스 지구에서 가장 먼 곳을 본 기업가됐다...지구 상공 107km 우주여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발사 3분 30초부터 뉴셰퍼드에 실린 유인 캡슐이 분리되기 시작했다. 이날은 1969년 미국이
최초
로 달에 착륙한 날에 또하나의 이정표를 세운 셈이다. 이날 탑승자들은 제프 베이조스를 비롯해 동생 마크 베이조스, 82세 여성 월리 펑크, 18세 네덜란드 예비 물리학도 올리버 다먼이다. 월리 펑크는 1 ... ...
베이조스 탑승한 블루오리진 우주여행 로켓 '뉴셰퍼드'는 어떤 로켓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재사용로켓이다. 옛 소련의 유리 가가린에 이어 1961년 미국인
최초
로 우주를 탐험한 미국
최초
의 우주비행사인 앨런 셰펴드의 이름을 땄다. 길이 18m의 1단 추진모듈과 사람이 탈 수 있는 캡슐로 구성돼 있으며 둘 다 재사용이 가능하다. 추진 모듈은 액체수소와 액체산소를 함께 사용하는 이원 추진제 ... ...
베이조스 오늘 밤 우주여행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타고 우주로 향한다고 밝혔다. 이날은 아폴로11호의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인류
최초
로 달에 착륙한 지 52주년이 되는 날이기도 하다. 뉴 세퍼드는 18.3m 높이의 발사체로 블루 오리진이 우주 관광용으로 개발한 재사용 발사체다. 최대 6명이 탈 수 있는 유인 캡슐을 싣고 지구 상공 약 100km에 ... ...
[과학게시판] 출연연 15개 기관, 소부장 R&D 규모 9000억 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전시회는 남극도둑갈매기, 황제펭귄 등 남·북극에 서식하는 다양한 동식물과 우리나라
최초
의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 모형, 월동대원 생활용품 등이 전시된다 ... ...
항우연 징계위 "조광래 전 원장 징계 불가"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안됐지만 징계가 불가하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밝혔다. 조 전 원장은 2002년부터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 개발을 이끈 핵심 주역 중 한 명이다. 2017년 11월 원장에서 퇴임한 뒤 후속 발사체인 ‘누리호’ 개발과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 ...
매년 큐비트 수 2배 ‘2차 양자혁명’ 시작됐다…한국 수준은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중국과학기술대 교수를 중심으로 양자암호통신에서는 가장 앞서 있다. 2017년 세계
최초
로 2000km 거리에 유선 양자통신망을 구축한 데 이어 올해 1월에는 유선 2000km, 무선 2600km를 연결한 4600km 양자암호통신에도 성공했다.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장은 “중국은 현재 1만km ... ...
고3 접종 19일부터...해외서는 이미 17세 이하 접종도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7.18
권장하고 있다. 캐나다는 지난 5월 12~15세 청소년에 대한 화이자의 백신접종 승인을 세계
최초
로 허용하며 “19세 미만 연령층의 백신 접종은 가족과 친구들에게 질병이 퍼지는 것을 통제하며 일상으로 돌아가는 데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뒤이어 같은 달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
[우주산업 리포트]호주는 왜 우주개발에서 국제협력을 강조할까
2021.07.16
팍스 전파망원경(Parkes Obseervatory). 1961년 설치된 이 전파망원경으로 1969년 전 세계에서
최초
로 달 착륙 사진을 미 항공우주국으로 전송했다. 호주 항공우주국 제공 지난달 17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최로 열린 ‘한국-호주 우주산업 기술 교류회’는 국제협력을 통한 자국 우주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 ...
[과학게시판] 전기硏-캐나다 워털루대 창원AI연구센터 설립 1주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IAF)에 가입한 110개 국가에서 재평가 없이 인정된다. 철도연은 “한국이 세계
최초
로 LTE 통신을 철도에 실용화하고 국제기술 표준화를 이룬 것”이라고 밝혔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2021년도 지역산업연계 대학 오픈랩(개방형 혁신연구실) 육성지원 사업’ 대상 대학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 ...
삼성·SK, 메모리 반도체 미래로 소셜·스마트·개방 제시(종합)
연합뉴스
l
2021.07.15
못한 수준의 성능과 연결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세계
최초
로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를 융합한 HBM-PIM (Processing-in-Memory), D램 모듈에 연산기능을 탑재한 AXDIMM 등을 지속해서 선보이고 있다. 한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새로운 시스템 아키텍처를 지원할 수 있는 차세대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