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3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오히려 줄어드는 반면 네트워크(파란색)와 데이터센터(녹색)의 수요가 급증함을
알
수 있다. ‘네이처’ 제공 2015년 현재 세계의 ICT 전력소비량은 연간 2000TWh(테라와트시. 테라는 10의 12승)로 전체 소비량 2만 TWh의 10% 수준이지만, 2030년에는 8000TWh가 넘어 전체 전력소비량의 21%에 이를 전망이다. ICT ... ...
간담이 서늘, 공포의 메이크업
팝뉴스
l
2018.11.13
것 같다. 다행히 오른쪽 사진을 보면 마음이 놓인다. 어떻게 메이크업을 했는지 쉽게
알
수도 있다. 왼쪽 사진은 최고의 할로윈 메이크업으로 평가받는 ‘작품’을 담았다. 프랑스 출신의 메이크업 아티스트는 작업 과정을 촬영한 영상도 공개해 큰 화제가 되었다. ‘미녀 흡혈 괴물’이라 ... ...
한국서 만든 달복제토로 30% 축소판 달기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이야기다. 이 교수는 “지구에서 달로 1kg을 가져가는 데 20억 원이 드는 것으로
알
려졌다”며 “우주 서식지 개발 계획은 모든 것이 해당 행성에서 자급자족해 사용하는 ISRU 방안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달에 있는 토양으로 인간이 살 수 있는 기지를 건설할 뿐 아니라 ... ...
초저전력 스포츠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시뮬레이션을 통해 OLED와 OPD의 빛을 섞어 사용할 경우 가장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알
아냈다. 평균소비전력 약 0.03밀리와트(mW)만으로도 심박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어 전력소모가 기존 센서의 수십 분의 일로 줄었다. 이 센서는 유연성이 높아 잘 구부러지 때문에 손목시계나 팔찌,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새 먹이사슬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바닷가에 사는 새들도 예외는 아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9일 둥지에 있는
알
을 돌보느라 여념이 없는 붉은배지느러미발도요(Phalaropus fulicarius)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보젝 쿠벨카 체코 카렐대 생태학과 교수 연구진은 기후 변화로 바닷가에서 생활하는 도요새나 물떼새들의 둥지를 ... ...
'누가 잘 접나' 달아오르는 폴더블폰 경쟁
2018.11.10
정보가 없습니다. 하지만 LG 또한 특허 신청을 통해 폴더블폰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LG의 폴더블폰은 베젤이 거의 없는 베젤리스 폰을 실현하는 모습입니다. 또 외부 디스플레이에 카메라를 적용해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LG의 폴더블폰 ... ...
암세포 전이 과정-우주진화 연구…계산과학 새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전(위)과 비교했을 때 현재(아래)의 우주에서는 필라멘트 형태의 거대구조가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 입자 수를 늘릴수록 이런 거대구조를 더 큰 시야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고등과학원은 9년 만에 새로 도입된 국가 연구용 슈퍼컴퓨터 5호기를 이용해 2~3조 개 입자로 세계 최대 규모의 우주 진화 ... ...
6개국 과학자 "중성미자 검출기로 비핵화 검증 가능"(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이용되던 중성미자 검출기를 북한비핵화를 위해 평화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리기 위해 제안했다”며 “검출기 건설이 실현된다면 북한 과학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연구 형식을 취해 자연스러운 협력을 이끌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기고문에는 국내에서 김영덕 IBS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양력이 생겨 공기저항이 커진 결과로 밝혀졌다 - 네이처 제공 왼쪽 아래 척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몸길이가 1㎜도 안 되는 아주 작고 가벼운 곤충이기 때문에 막 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필라멘트가 배열된 게 전부인 날개로도 날 수 있다. 이들에게는 하늘을 날아다닌다는 것보다 헤엄친다고 하는 ... ...
지진 13만건 학습한 구글AI,여진 위치 2배 잘 맞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기사 : 대형 지진 뒤 여진, AI가 예측한다 와튼버그 리서치사이언티스트는 “기존 예측
알
고리즘으로는 100개의 여진 위치를 예측하면 3개를 맞추는 데 불과했는데(3%), 새 AI는 그 두 배인 6%를 맞출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초창기라 낮은 수치고 따라서 실제 생활에 바로 쓸 수는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