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합법화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불평등은 이성과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부산물이며
자연
스럽지도 않다. 오늘날의 소득불균형 역시 마찬가지다. 이를 줄이는 노력은 법과 제도 외에 과학과 의학에서도 급박하다 ... ...
기후변화: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에 대하여 적극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우리나라가 매년 받는
자연
재해 피해 중 23%가 산사태로 인한 피해일 만큼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게 있어 심각한 문제임이 틀림 없기에 강조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사회기반시설물이 입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 ...
2012 여수 세계박람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남극 눈보라 터널을 지나 북극 빙하를 흉내 낸 얼음벽을 만나거든. 이곳에서 북극의
자연
환경과 북극곰을 엿볼 수 있지.2 노는 것이 곧 에너지 에너지파크에너지파크는 맘껏 뛰놀 수 있는 놀이터라고 볼 수 있어. 하지만 단순한 놀이터가 아니야. 모든 것이 에너지로 바뀌는 물리 학습 체험장이지. ... ...
황금의 수, 18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그때 둘레의 길이와 넓이는 모두 18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물론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자연
수라는 조건이 없다면, 둘레의 길이와 넓이가 같은 직사각형은 무한하다. (a-2)(b-2)=4를 만족하는 두 양수 a, b의 순서쌍은 a가 2보다 큰 임의의 실수일 때 항상 존재한다. 식을 b에 관해 정리하면 b=4/(a-2)+2=2a/(a-2 ... ...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황금비 캘리퍼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가장 유력한 사람이다. 히파수스는 정오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대각선 길이의 비(a:b)가
자연
수가 아닌 특별한 비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 비는 약 1:1.168…로,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무리수 비였다. 이것이 바로 황금비다. 정오각형에서 각 꼭짓점의 대각선을 모두 그어 보자. 그러면 그림❸와 같이 ... ...
짧고 굵게 집중하면, ‘원’도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이때 학생들은 답을 쓸 때 ‘꼭 $π$를 붙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죠. 왜냐 하면
자연
수에 익숙한 학생들은 $π$를 ‘수’로 인식하는 것이 낯설기 때문이에요. 대부분 $π$를 방정식에서 사용하는 $x$나 $y$처럼 미지수를 나타내는 ‘기호’로 혼동하기 쉽죠. 하지만 원의 둘레와 넓이를 구할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또다른 비극을 낳았습니다. 많은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더 큰 농경지가 필요했습니다.
자연
히 점점 큰 땅을 차지하기 위한 대규모 전쟁이 발생했습니다. 전쟁으로 사망률이 높아지자 전쟁에 내보낼 수 있는 사람도, 땅을 일굴 수 있는 사람도 줄었습니다. 그래서 그만큼 더 많은 아기를 낳아야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우리가 보는 영화도 마찬가지에요. 1초에 24프레임으로도 우리 눈은 무리 없이
자연
스러운 움직임을 인지합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쓰는 초당 24프레임은 일종의 관행이에요. 피터 잿슨 감독은 초당 48프레임으로 ‘호빗:뜻밖의 여정’을 촬영하고 있답니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아바타 속편을 초당 ... ...
Intro. 여우야 여우야 같이 살자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집인 듯 누비고 다니는 이들의 정체는 여우.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췄던 여우가 10월 말
자연
으로 돌아간다. 멸종위기 동물 생태를 복원하는 일은 미래를 찾는 일이다. 한반도 멸종위기 동물 복원과정에 담긴 과학, 복원을 넘어 종 다양성을 확보하고 함께 사는 모습을 그려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특성을 파악해 개체수를 늘리고 적합한 방사지를 정하는 과정도 지난하다. 그렇지만
자연
상태에서 멸종위기 동물이 외부 위협에 견뎌 나갈 수 있도록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돕는 과정은 시아마가 지적한 것처럼 ‘유전적으로 다른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또 다른 복원의 과정이 아닐까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