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K}^{0}$입자보다 대칭성이 깨지는 정도가 훨씬 커 그 원인을 규명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예상
되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스탠퍼드선형가속기연구소(SLAC)에서는 ‘바바(BaBar)실험’이란 이름으로, 일본 고에너지가속기연구기구(KEK)에는 ‘벨(Belle)실험’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국제공동연구가 진행되고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또 지구 생명체의 진화과정과 인류의 진화 역사를 정확히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
예상
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판명된 인간 유전자 수는 ‘양보다는 질’이라는 격언을 되새기게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게놈 연구에 큰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진핵생물DNA를 포함한 세포핵이 핵막에 둘러 쌓여 ... ...
인간 유전자 수 파리와 엇비슷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유전자 수가
예상
보다 훨씬 적은 2만-2만5천개로 파리와 엇비슷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인간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미 국립인간게놈연구소(NHGRI)의 프랜시스 콜린스 소장은 21일 런던에서 “당초 3만-3만5천개로 알려진 인간의 유전자 수가 인간 게놈지도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통해 이보다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그런데 이제 NBT라니….그러나 둘의 만남은
예상
된 일이었다. 생명체의 기본단위인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활동의 거의 전부가 나노 수준에서 정밀하게 조절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지름이 10㎛ 정도인 세포 속에는 수십㎚ 크기의 수많은 바이오센서와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노기계, 나노전자공학의 소자나 바이오센서 소자 등에 DNA가 폭넓게 쓰일 것으로
예상
된다. 시먼 교수는 “DNA만으로 이뤄진 유용한 장치나 기계가 나오기는 어렵다고 본다”며 “DNA는 나노기계의 중요한 부품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펩티드로 만든 나노거푸집 DNA를 이루는 염기가 4가지인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 토요일 밤을 즐기는 색다른 ‘놀이’로 과학을 제안한 것은
예상
을 훨씬 뛰어넘는 폭발적 반응을 얻었다.한 쪽에서는 무료 셔틀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줄이 길게 늘어섰다. 손님을 맞이할 채비를 끝낸 50여곳의 지역 연구소 실험실들이 자정까지 개방됐기 때문이다. ... ...
유전자와 환경이라는 닭과 달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인간게놈연구에 참가한 과학자들의 분석 결과 인간의 유전자 수가 당초
예상
했던 3만-3만5천개에 훨씬 못미치는 2만-2만5천개 정도에 불과하다는 보도가 있었다. 파리의 유전자 수가 최대 2만개에 달한다니, 유전자 수로 고등동물과 하등동물을 구분하는 시대도 이제 막을 내려야 할 참이다.인간과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아니라 다른 단백질의 합성이 억제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예상
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 하지만 현재 전문가들은 RNA 간섭 현상은 특이성이 높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다.치료제로 사용될 siRNA의 안전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 ...
2080년 '초강력 태풍' 출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태풍 발생이 지금과 비슷하더라도 강도는 훨씬 세기 때문에 피해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했다. 또 지구온난화로 바다 수위가 올라가기 때문에 태풍에 따른 바닷물 범람 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것이다! 분해될 단백질을 찾아 입을 맞추는 주인공이 바로 유비퀴틴이란 얘기.
예상
치 못한 행운에 탄력을 받은 연구팀은 유비퀴틴이 단백질에 붙을 때 E1, E2, E3라는 효소들이 차례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뿐만 아니라 유비퀴틴이 활동을 시작하기 위해 E1에 결합할 때 ATP가 사용된다는 사실도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