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악플의 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시간을 끝맺었죠. 인터넷 시대의 악마, 악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19년 2월 24일
발표
한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현재 대한민국 인터넷 이용자 수는 4600만 명에 이르고 만 3세 이상 인터넷 이용률은 91.5%나 됩니다. 또한 만 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의 65.2%가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두아디와 쿠더의 방정식으로 설명하지 못했던 식물까지 포함하는 변형된 방정식을
발표
했습니다. 피보나치 수열을 따르지 않는 식물 종이 어떻게 배열 패턴을 나타내는지 알아낸 것이지요. 상산나무는 기존의 식물 생장 모델로는 배열 패턴을 만들지 못했던 식물입니다. 연구팀은 예외라고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타이탄에 보낼 무인 탐사선 ‘드래건플라이(Dragonfly)’ 개발에 착수한다고 6월 27일
발표
했다. 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큰 타이탄은 지름이 약 5150km로 태양에서 14억km가량 떨어져 있다. 질소와 메탄으로 이뤄진 대기 등 초기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갖고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아프리카누스의 식습관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5일자에
발표
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는 200만~30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인류로, 가장 먼저 화석이 발굴된 인종이다.연구팀은 2명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에서 나온 치아 화석 5개의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신경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자가포식(auto phagy) 때문이라는 사실을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6월 24일자에
발표
했다. 자가포식이란 불필요하거나 기능이 손실된 세포를 우리 몸이 스스로 분해하는 기작을 말한다. 연구팀은 쥐를 이용해 자가포식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Atg7이 신경줄기세포에서 작동하지 못하도록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이르게 할 수 있음을 실험으로 확인하고 2014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
했다. doi:10.1038/ncomms4977 또 다른 뉴클레이스는 유전자 가위로 불리는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이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암컷의 생식 능력과 관련된 핵심 유전자를 불량으로 만들었다. 염색체는 크기와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하지만 테슬라는 다른 전기공학자들처럼 자신의 발명과 이론을 정리해 논문으로
발표
하지 않은데다 기이하고 괴팍한 성격 탓에 처음에는 저평가됐다. 그러나 지금은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전기공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에디슨을 굴복시킨 사업가테슬라가 완성한 교류식 전기 공급 시스템의 ... ...
개미왕국 보존이냐? 개발이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 100년 이상 자리를 지키던 (구)농림축산검역본부가 2008년 경북 김천으로 이전계획을
발표
하면서 안양시는 2010년 12월 이 부지를 사들여 이곳에 주민들을 위한 행정·복지·문화시설을 갖춘 복합단지로 개발하기로 결정했어요. 이때는 왕개미 가족이 발견되기 전이었지요. 2018년 10월, 국립생태원은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게임 랙 극복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이 연구는 2019년 5월에 열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국제 학술대회인 ‘2019 CHI’에서
발표
됐습니다. ... ...
[과학뉴스]대서양에 나타난 8850km 해조류 벨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해양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7월 5일자에
발표
했다. 갈조식물의 일종인 모자반은 다양한 해양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고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개체수가 너무 많아지면 연안 해양생물의 서식에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