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만한 새로운 뇌기능영상 기술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미래의 뇌기능영상 기술은 어떻게
발전
하게 될까? 우선, fMRI나 뇌자도는 초전도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냉각 시스템을 갖춘 매우 거대한 측정 기계가 필요하다. 이런 기계로는 우리가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의 뇌 활동만을 관찰할 수 있다.2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캐시는 오롯이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조종한 것이다.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눈부신
발전
캐시가 15년 만에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된 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라는 기술의 발달 덕분이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란, 뇌의 신경신호를 감지해 컴퓨터를 작동하는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카오스 이론에 지배받는 날씨마저 예측할 수 있다. 그는 모든 것을 알기 때문이다.과학이
발전
하면서 라플라스의 악마는 점점 힘을 얻었다. 과거 원인을 알 수 없던 많은 것들의 원인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이대로 라플라스의 악마는 그를 불러낸 과학자의 바람처럼 이 세계를 결정론이 지배하는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무작위로 찍었을 때의 확률이므로 구분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이 시뮬레이션 기술이
발전
해 현재 우리는 관측할 수 있는 우주보다 더 큰 우주의 지도를 컴퓨터로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런 방법론을 흔히 ‘N·바디(body)’ 시뮬레이션이라고 부른다. 여기까지는 튜링 컴퓨터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짐작이 된다.실험은 쉽지 않았다. 약 8100kg에 달하는 코일 7개에 앞서 소개한 대형
발전
기를 달았다. 그 뒤 모두 여섯 번의 독립된 자기장 발생 실험을 했다. 척 미엘케 펄스장실험동 소장은 “15년에 걸친 집중적인 작업 끝에 거둔 성공”이라고 말했다.이번 실험에서 만든 자기장이 인류가 경험한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KBS 등 각 방송사에서 좋은 다큐멘터리를 많이 만든단다. EBS 다큐프라임도 좋아. 수학의
발전
도 알 수 있고 정치도 알 수 있고 고릴라에 대한 것도 알 수 있어. 감독이 누군지, 내용이 무엇인지, 네 생각은 뭔지를 써봐. 그런 걸 봐야 네가 하고 싶은 것도 알 수 있지” 현재 16세인 Y학생은 3년 후면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신경외과에서도 뇌의 특정 부위를 잘라내는 대신 신경섬유 다발을 끊어주는 수술 기법이
발전
하고 있다. 먼 미래에는 우리 뇌의 잘못된 연결이나 끊어진 연결을 재생시킬 수 있는 유전자 치료나 줄기세포 치료 방법이 개발돼서 뇌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생각보다 수학자들이 ‘탁구’에 관심이 많구나~!나도 수학과 과학이 없었으면 탁구의
발전
이 더뎠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들었어.특별히 탁구에 입문하는 친구들을 위해 내가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해 줄게! 하나 탁구라켓은 공의 0°~90° 사이를 공략하라!탁구는 탁구라켓의 각도에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여겼다. 그러다가 점점 숫자 13과 관련된 것이 있으면 일부러 기피하는 현상으로
발전
했다. 이러한 경향은 ‘13 공포증’이라는 말이 붙을 정도로 강하게 나타났다. 건물의 층이나 프로 운동 선수들의 등번호로도 13은 기피대상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미국에서는 13일과 관련한 결근과 예약 취소가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중국의 주판이나 인도의 숫자를 비롯한 아시아의 수학과 도구가 서양으로 전해져 수학
발전
의 밑거름이 됐다. 그동안 서양 수학에 비해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던 아시아의 수학사를 살펴보는 것은 수학을 이해하는 폭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다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