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준
척도
규격
규범
본보기
견본
준거
뉴스
"
표준
"(으)로 총 2,501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난안전 관리 기술ㆍ시스템, 한-미 공조
과학동아
l
2014.05.21
한국
표준
과학연구원과 미국 국가측정
표준
연구소는 나노 물질의 안전성 검증관련 차세대
표준
화기술 등을 위한 공동연구를 올해부터 추진할 예정이다 ... ...
수학을 활용하면 시차 적응도 OK~!
수학동아
l
2014.05.19
여행의 설렘을 느끼기도 전에 먼저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다. 바로 시차증이다. 시차증은
표준
시간대가 달라지면 신체의 수면 주기가 어긋나게 되어 피로감을 느끼는 증상이다. 지난 2월에 열린 소치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미국 대표팀이 시차증을 극복하고자 호텔방에 수면을 유도하는 전구를 설치해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쥐에 집어넣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즉 사람에서와 비슷하게 변이형(370A)인 쥐는
표준
형(370V)인 쥐에 비해 털이 더 굵었다. 연구자들은 또 다른 차이점들을 발견했는데, 변이형 쥐는 땀샘이 더 많았고 젖샘의 지방조직이 작아졌다. 연구자들은 이런 예상치 못한 차이점이 사람(중국인)에서도 ... ...
이건희 회장이 받은 저체온요법 뭘까
과학동아
l
2014.05.12
통합치료를 실시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앞의 4가지는 2010년 이전의 심폐소생술
표준
치료법이다. 마지막 다섯번째는 2010년 국제공용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서 강조하는 것으로 최근 추가됐다. 신용삼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센터장(신경외과)은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사람의 혈관은 ... ...
부산에서 평양까지 ‘해무’로 2시간
과학동아
l
2014.04.25
쉽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선로 폭이다. 우리나라와 북한, 중국 등에는 폭 1.435m인
표준
궤도가 깔려 있지만 러시아에는 이보다 폭이 넓은 1.52m짜리 광궤도가 깔려 있다. 여기에는 ‘궤간가변대차’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궤간가변대차는 열차를 멈추지 않고 시속 30km로 천천히 운행하면서 ... ...
1km 떨어진 가습기와 에어컨이 서로 대화를?
과학동아
l
2014.04.24
IEEE)로부터 ‘개인영역네트워크(WPAN)용 무선통신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
승인을 받아 국제 로열티 수익 등도 기대되고 있다. 최상성 ETRI WPAN응용연구실장은 “사물인터넷 기술은 실생활을 큰 폭으로 바꿔주는 기술“이라며 “가정내 스마트 가전기기와 융합,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 ...
“애플이 틀렸어”… 5인치대 화면이 글로벌 대세
동아일보
l
2014.04.23
모델 화면은 5인치대로 통일되는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주도한 트렌드가 시장의
표준
으로 여겨지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미 삼성전자와 갤럭시S5, LG전자의 G프로2 같은 신제품들은 5인치대 화면으로 출시됐다. LG전자가 빠르면 상반기 중에 선보일 새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G ... ...
원자 속 ‘전자’ 샅샅이 보는 토종 ‘눈’
과학동아
l
2014.04.02
아니라 다소 왜곡된 형태의 영상을 보고 전자의 모습을 추측하는 방식이었다. KAIST-
표준
연 공동연구팀은 원자 속 전자의 공간적 분포 상태를 상온에서도 정확히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전기를 이용하는 기존 방식을 포기하고 열을 이용해 영상을 촬영했다. ... ...
ETRI가 MIT 제치고 1위한 분야는?
과학동아
l
2014.04.02
ETRI가 2013년 등록한 특허에는 3세대 이동통신과 LTE관련 특허 등 경제적 가치가 높은
표준
특허가 300건 이상 포함됐다. 기술력 지수는 양적평가와 질적평가를 종합해 산출됐다. 양적평가는 특허등록 건수를, 질적평가는 특허의 인용 건수를 환산한 산업영향력을 토대로 점수화됐다. 하지만 ... ...
본격화되는 ‘생물자원전쟁’ 韓 참전 시기는?
과학동아
l
2014.03.28
시스템을 구축해 분야별로 흩어져 있던 국내 생물자원 정보를 모으고 국제 기준에 맞춰
표준
화하고 있다. 또 2017년까지 세계 15개국 53개 기관에 반출된 자생 생물자원 현황을 조사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환경부 김상훈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준비기획단장은 “생물자원에 정당한 가치를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