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충족
충만
만족
흡족
배가득
만복
넉넉함
d라이브러리
"
충분
"(으)로 총 2,4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 두 세잔의 커피는 걱정할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동물실험에서 증명이된것으로 사람에게도 비슷한 영향을 줄것이다. 자궁에 산소공급이
충분
치 못하면 태아의 성장저해, 불구, 조산, 심할경우 태아가 사망하는 수도 생길수 있는 것이다. '예일'대학의 '마이클 브락켄'박사는 임산부에 대해 이렇게 충고한다. "아마도 임산부에게 하루 석잔의 커피는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확장도 역시 부정적인 측면이 크다고 봅니다. 이런 개발사업을 하기 전에 연구단체와
충분
한 협의를 거쳤으면 좋겠는데 그렇지 못한 형편입니다. 4대강유역개발만 해도 금강 영산강 등을 공사해나가는 도중에 조사를 의뢰해 왔어요. 공사착수전에 미리 조사의뢰가 됐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앞으로 ... ...
수소 에너지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독일의 벤츠사 등에서 시범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그 실용 가능성이
충분
히 인식되기에 이르고 있다. 특히 에너지자원이 빈약한 일본에서는 1977년 이후 금속수소화물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제작에 8개 이상의 서로 다른 대형 프로젝트가 수행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미 상품화 한 것도 ... ...
운동선수의 약물중독 왜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의무위원장인 김집박사는 "약물검사에 대한 시설을 완비하고
충분
한 기술자를 양성, 올림픽대회와 같은 수준의 도핑시스템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경기대회사상 약물검사를 공식화 하는것은 서울아시아경기가 최초다. 도핑검사를 할 기구는 '도핑컨트롤센터'로 ... ...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의존한다. 따라서 파랑색 빛은 진동수가 크므로 전자를 금속의 표면 밖으로 튕겨낼
충분
한 에너지를 갖지만 붉은색 빛은 진동수가 작아서 즉 에너지가 작아서 전자를 튕겨내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파랑색 빛은 광전효과를 일으키지 못하는 것이 잘 설명된다. 파랑색 빛을 강하게 쪼이면 나오는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역시 이 공기화학적 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며 중요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일산화질소가
충분
히 많을 경우 다음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반응에서 결과적으로 일산화탄소가 분해되고 새로운 오존분자가 만들어 진다. 일산화질소의 양이 적을 경우는 다음과 같은 오존분해반응이 일어난다. 대류권의 ... ...
시력이상과 교정의 요령 굴절이상은 정확한 안경처방이 필수적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중요하다. 눈의 과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독서나 세밀한 작업을 할 경우 주기적으로
충분
한 휴식시간을 두어 조절경련이 안오도록 해야 한다. 이밖에도 TV 시청시 화면거리의 유지, 적절한 조명 등도 중요하다고 하겠다.시력검사의 시기는 4세전후에 해보는 것이 좋으며 시력이 나쁜 사람은 1년에 ... ...
문제인식에서 오류수정까지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2)로 나눈다. 이제 (문제1)을 해결하기 위한 각 단계를 BASIC 언어로 작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
한 알고리즘을 정하였다. 그러면 자료표에 나타낸 변수명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구현시켜 보자. □ REM 문 (그림 1)에서 REM으로 시작되는 문장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번역기 ... ...
지구 한바퀴 도는데 3시간 타임머신같은 행성열차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교체가 임박한 곳에서는 결코 꿈같은 이야기가 아닌 진지하게 연구해야할 대상이 되기에
충분
한 것이다.그리고 이 행성열차계획은 교통체계의 전면적인 재편성뿐만 아니라 통근권 개념의 혁신, 사회시스템의 혁신도 수반하기 때문에 참다운 매크로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거대사업이다.(외지에서 ... ...
살인도 하는 수면중의 무의식 행동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수동적인 사람들도 난폭한 꿈을 꾸는예가 많다고 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설명은 아직도
충분
하지 않다. 인간의 두뇌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경학자들은 부분적으로 대뇌의 교수(橋髓)에 있는 신경세포에 영향을 받아 무의식상태의 폭력이 나타나는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그런데 이들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