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본 일이고, 다른 하나는 수명을 늘려준다는 노인성을 본 것이다. 천문대의 연구원들은
전문가
답게 인공위성의 궤도와 출현시간을 알고서 인공위성이 잠깐 빛났다 사라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통신위성인 이리듐은 약 1시간 30분 주기로 지구를 선회하는데, 태양의 반대쪽에서 태양빛을 반사하는 ... ...
전 세계 독감 진원지 동아시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퍼져 나가며 지구순환을 마친다는 것.이 결과에 대해 세계보건기구(WHO)의 독감바이러스
전문가
게이지 후쿠다는 “정말 놀라운 논문”이라며 “독감의 피해를 줄이려면 아시아에서 조사활동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있다.서울에서 자동차로 약 1시간 거리에 있는 양평국제천문대는 아마추어용부터
전문가
용까지 다양한 망원경을 빌려 주고 방문한 사람이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망원경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해준다.하지만 무턱대고 찾아가면 날씨가 흐려 밤하늘 여행은 ... ...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걷어 내면 공기가 들어가 오히려 불길이 더 커졌을 것이라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전문가
들 사이에서도 이 문제는 아직 논란의 대상이다.불길이 되살아난 지 약 3시간 후, 2층 누각 지붕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불에 타면서 구성 물질이 대부분 기체로 변해 날아가자 기둥이 지붕 무게를 감당하지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 예수상은 영국에서 19세기 초에 유리 성분을 넣어 구워 낸 석상입니다. 우리나라의
전문가
가 직접 일본으로 가서 일본 동복예술공과대에서 파손 부분을 처리하는 모습이에요. 이동 중 높은 곳에서 떨어져 크게 파손된 이 석상처럼 석조, 도자기, 금속 작품 등은 유물 전체 무게를 견딜 만큼 잘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높다. 이럴 경우 물과 전해물질이 격렬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건 불을 보듯 뻔 하다고
전문가
들은 말한다.일부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작아지고 얇아지면서 사고가 더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지적한다.중앙처리장치(CPU)나 통신장비가 고성능으로 바뀌면서 더 많은 열을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품질을 평가할 때 엔지니어는 측정치를 갖고 평가하지만 이는 뛰어난 귀를 가진 세계적
전문가
의 주관적 평가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엔지니어가 평소 자기 전공과 관련한 문화적, 예술적 경험을 많이 한다면 우리의 경쟁력이 높아질 겁니다.” 그의 의미심장한 목소리가 감동적인 색소폰 ... ...
고산 미스터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크게 도움이 되는 러시아 우주 기술의 핵심기술이 담긴 책은 아니기 때문이다.민간 우주
전문가
스페이스스쿨 정홍철 대표는 “가가린훈련센터에서 훈련할 때 사용하는 교재는 ‘운전교본’에 불과한 정도라 국가적으로 꼭 필요한 내용이 들어있지는 않다”며 “최근 강화된 러시아의 보안 규정이 ... ...
2030 바이오닉맨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예측한다. 과학을 입고 신체의 각 부분을 업그레이드한 포스트휴먼은 어떤 모습일까.
전문가
들이 구상한 설계도를 하나씩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바이오닉맨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part 4 암기에서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생명과학과 나노과학, 화학과 약학의 최신 이론과 기술이 동원돼 있기 때문에 한 분야의
전문가
가 조작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KAIST 조사위원회에서 실사를 했던 생명과학과 서연수 교수는 “황 교수팀 사건도 그랬지만 남들이 하기 어려운 연구 분야일 경우 조작유혹에 빠지는 것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