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과학으로 분석한 ‘낚시꾼 스윙’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넘어 몸 전체를 회전시켜버리는 일명 ‘트리플 악셀’ 스윙을 선보이기도 한다.박 선임
연구원
은 “최 프로의 스윙은 신체 조건을 이겨내기 위한 치열한 고민의 결과로 보인다”며 “보통 종목을 막론하고 선수들은 예쁜 자세에 대한 집착이 있는데, 최 프로처럼 정확한 분석을 통해 자신의 신체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
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Culture] 음식의 화룡점정, 소스 분산액&유화액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구조 및 기능 특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11년간 한국식품
연구원
에서 선임
연구원
으로 재직하며 식품분석법을 연구했다. 2006년부터 한양대 식품영양학과에서 식품화학과 분자미식학을 연구하고 있다. hime@hanyang.ac ... ...
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신호를 걸러내면 밀림 아래에 놓인 지형을 알아낼 수 있답니다. 2016년, 프랑스국립극동
연구원
데미안 에번스 박사팀은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주변 정글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도시의 흔적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라이다를 이용해 총 2230㎢ 넓이의 정글을 조사했어요. 그 ... ...
Part 4. 프랑스, 수학의 성지가 된 비결?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기초과학에서 좋은 결과를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물어봤습니다. 어셔 책임
연구원
은 “학교를 막 졸업한 젊은 인재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대학교와 연구기관들의 협력 관계가 잘 이뤄진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예술의 도시에서 ... ...
[영재교육원 탐방 7]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 , 숨어있는 다양한 가능성 찾는다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저희는 사사과정이나 심화 과정을 따로 두지 않습니다.”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
연구원
황신영 박사의 영재교육센터 소개는 이렇게 시작했다. 사사과정은 담당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직접 연구를 해 볼 수 있는 심화교육 과정이다. 1년 프로그램을 마친 뒤 우수한 학생을 선발해 사사과정을 ... ...
[과학뉴스] 2만km 여행한 남극산 다시마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장벽 때문에 다른 대륙과 교류하지 못하고 고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프레이저 수석
연구원
은 “지구온난화로 남극해의 해류와 바람이 약해진 것으로 추정된다”며 “장벽이 더 약해지면 다른 대륙의 생물들이 극지 생태계를 공격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58-018-0209- ... ...
[과학뉴스] 행성 탄생의 순간 포착!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결과 처음으로 PDS 70b의 생생한 이미지를 포착했다.안드레 뮐러 막스플랑크 천문학연구소
연구원
은 “이 발견은 행성 형성의 이론적 모델을 시험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온라인판 7월 12일자에 게재됐다.doi:10.1051/0004-6361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성공한다면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전환점이 된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발사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난제로 일정이 미뤄지기도 했지만, 연구진의 노력 끝에 가장 중요한 관문인 종합연소시험을 문제없이 완료했다”며 “2021년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어두운 밤에는 또렷한 영상을 얻기 어렵다.이런 한계를 넘기 위해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은 2016년 60m 거리에서도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CCTV를 개발했다. 이 CCTV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열적외선 카메라와 피사체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로 구성됐다. 사람의 체온에 가까운 34~37도를 인식하면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