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코 흉내내는 '인공 코'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부풀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기를 전도하는 속도가 변한다. 냄새가 단순한 전기적
신호
로 바뀌는 것이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에 민감한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인공 코는 각각의 냄새에 대해 고유한 ‘냄새 자국’을 만든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기를 전도하는 플라스틱의 수가 많지 않아 감지할 수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실리콘칩의 기본요소인 다이오드의 특성과 일치한다. 이것은 전자의 흐름에 따라 전기적
신호
를 구분할 수 있는 스위칭 특성을 제공한다.빛이나 전기 같은 외부 자극을 이용해 단백질 복합체의 산화 - 환원 상태를 조절하고, 구분이 가능한 상태(현재의 메모리개념으로 설명하자면 on=1, off=0)를 ... ...
밀레니엄 버그 ABC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컴퓨터가 0을 무시하고 9999라는 값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면 컴퓨터는 9999라는 동작정지
신호
로 인식해 작동을 멈춘다. 올해 초 스웨덴 스톡홀름의 알란다 공항에서 일어난 여권발급 중지사태는 이러한 99버그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같은 시기 스웨덴에서는 컴퓨터 칩이 내장된 택시미터기가 연도를 ... ...
생물계의 공생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닫아버린다. 그런데 숙주와 세균 사이에는 서로를 알리고 알아내는 그들만이 아는
신호
물질(주로 단백질이나 당 성분인 만노스다)이 있다. 이것을 정해진 식물에는 어떤 정해진 세균만이 들어가 사는 종 특이성(種 特異性)이라고 한다. 즉 식물에 따라서 공생하는 세균이 다 다르다는 것이다. 일단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신경세포는 훌륭한 전도체가 아니지만 신경세포막 안팎의 이온의 흐름을 조절해 전기
신호
를 발생시키는 정교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그림4).신경세포의 안팎은 세포막을 경계로 해서 생기는 나트륨(${Na}^{+}$), 칼륨(${K}^{+}$) 등의 이온 농도의 차이와 신경세포막이 지니는 특정 이온에 대한 선택적 ... ...
인터넷은 핵폭탄이 안겨준 선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여러 조각으로 나뉜 자료들을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하므로, 없어진 부분만 따로
신호
를 보내 받으면 되는 것이다.지구 곳곳을 전산망을 통해 서로 맞물리게 해주는 인터넷. 이를 탄생시킨 혁신적인 개념이 가상 핵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궁리하다가 나왔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인터넷이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두 곳의 정보 저장소를 만들어서 1 과 0을 표시하는 것이다. 회로 내에 갇힌 정보는 다른
신호
가 들어올 때까지는 정보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전원이 없어도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다. 단지 D램 보다 트랜지스터의 수가 세 개 더 많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해 값이 비싸고 기억 용량이 작다는 문제가 ... ...
생활 속의 전자파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해롭지 않은가 - 암 등 질병을 유발한다는 연구 많아인체나 모든 생물체 내에서 생체
신호
들은 전기적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전자기장을 수반한 전자파에 의해 인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전자파가 일으키는 해로운 작용도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 ...
2. 사주와 주역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앞으로 희망이 보이고 상황이 호전될 것이니 용기를 가지고 정진해보라는 격려의
신호
가 될 수 있을 것이다.그런데 여기서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이 사람의 상황이 어떤 괘와 효에 해당하는지를 어떻게 알아내느냐 하는 점이다. 이를 위해 주역에서는 일정한 절차에 맞추어 주역 점을 쳐야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강한
신호
에 의해 압도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그러한 강한
신호
를 감소시키면 실험실에서 ESP의 존재를 관찰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요컨대 명상으로 잡념을 없애는 것처럼 감각 박탈로 잡음을 감소시켜 ESP의 자발적 출현을 유도하려는 기법이 간츠펠트 실험이다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